<요통 Macnab> 12. 척추관 신경압박, ‘가다 서다’ 반복하게 되는 다리 통증의 진짜 원인 (협착증 완벽 분석)

척추관 신경압박

<요통 Macnab> 12. 척추관 신경압박, ‘가다 서다’ 반복하게 되는 다리 통증의 진짜 원인 (협착증 완벽 분석)

걷기 힘든 어르신들, 정말 ‘나이 탓’일까요?

“젊었을 땐 어디든 쌩쌩하게 다녔는데, 이제는 5분만 걸어도 다리가 터질 것 같아. 길가에 쪼그려 앉아 한참을 쉬어야 겨우 다시 걸을 수 있어.” 주변 어르신들에게서 너무나 흔하게 들을 수 있는 하소연입니다. 많은 분들이 이를 그저 ‘나이가 들어 기력이 쇠한 탓’으로 여기거나, 막연히 ‘허리 디스크가 심해졌나 보다’라고 짐작하곤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걷는 것 자체를 고통스럽게 만드는 보행 장애의 진짜 원인은, 우리가 이전에 다루었던 디스크 파열과는 전혀 다른 곳에 있을 수 있습니다.

지난 시리즈에서 우리는 터져 나온 디스크가 신경을 공격하는 ‘디스크 신경자극’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보았습니다. 그러나 오늘부터 시작할 이야기는 다릅니다. 신경을 공격하는 주체가 디스크 조각이 아닌,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 그 자체가 좁아져 발생하는 문제, 바로 ‘척추관 신경압박’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는 퇴행성 척추 질환의 또 다른 큰 축인 ‘척추관 협착증’의 핵심 병태이며, 특히 고령층의 삶의 질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주된 원인입니다.1

허리 디스크와는 다른 고통의 시작점

허리 디스크(추간판 탈출증)와 척추관 협착증은 모두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을 유발하기에 일반인이 구분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통증이 시작되고 악화되는 양상에는 결정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디스크 파열이 급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허리를 숙일 때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면, 척추관 협착증으로 인한 ‘척추관 신경압박’은 오랜 세월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며 오히려 허리를 펼 때 증상이 심해지는 특징을 보입니다.2

마치 오래된 수도관에 녹이 슬고 이물질이 끼어 내부가 점차 좁아지듯이, 우리의 척추관 역시 나이가 들면서 다양한 퇴행성 변화로 인해 그 공간이 좁아지게 됩니다. 이 좁아진 통로를 지나가는 신경 다발 전체가 압박을 받으면서 혈액순환에 장애가 생기고, 특히 걷거나 서 있는 자세에서 그 압박이 극대화되어 다리에 극심한 통증과 무력감을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척추관 신경압박’의 본질적인 문제입니다.

구분디스크 파열 (디스크 신경자극)척추관 협착증 (척추관 신경압박)
자세와 통증허리를 숙이면 디스크 압력이 높아져 통증 악화. 앉아있을 때 불편함.허리를 펴거나 걸으면 척추관이 좁아져 통증 악화. 구부리면 완화.3
보행 능력통증은 심하지만, 보행 거리 자체에는 큰 제한이 없는 경우가 많음.조금만 걸어도 다리가 터질 듯 아파서 가다 서다를 반복함 (파행).
주요 발병 연령비교적 젊은 20~40대에 호발.주로 50대 이후의 중장년, 노년층에서 호발.

따라서 만약 부모님이나 나 자신이 걷는 것이 점점 힘들어지고, 유모차나 쇼핑 카트처럼 무언가에 기대어 허리를 구부려야만 편안함을 느낀다면, 이는 단순히 나이 탓이 아닌 ‘척추관 신경압박’이라는 명확한 질환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4 이 신호를 무시하고 방치할 경우, 보행 장애는 더욱 심해지고 삶의 질은 급격히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번 시리즈에서는 이러한 ‘척추관 신경압박’의 원인과 특징, 그리고 디스크 파열과의 명확한 차이점, 나아가 효과적인 관리와 치료법까지 총체적으로 다루어보고자 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신경의 통로가 좁아지는 구체적인 원인, 즉 척추관 협착증의 병태생리에 대해 본격적으로 파헤쳐 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1.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척추관 협착증”. 건강정보. 2023. Available from: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4047
  2. Genevay, S., & Atlas, S. J. (2010). “Lumbar spinal stenosis”.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rheumatology, 24(2), 253–265. Available from: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841052/
  3.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허리디스크와 척추관 협착증”. N 의학정보. Available from: https://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149
  4. 서울아산병원. “요추관 협착증(Lumbar spinal stenosis)”. 질환백과. Available from: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71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