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통 Macnab> 06. 척추 불안정성의 모든 것: 10대 피로 골절(분리증)부터 노년의 미끄러짐(전방전위증)까지

척추 불안정성

<요통 Macnab> 06. 척추 불안정성의 모든 것: 10대 피로 골절(분리증)부터 노년의 미끄러짐(전방전위증)까지

도입: 척추의 연결고리가 끊어지다

척추뼈 하나하나는 마치 정교하게 조립된 기계 부품과 같습니다. 이 부품들이 제자리에서 튼튼하게 버텨주려면, 부품들을 연결하는 ‘볼트와 너트’가 단단히 조여져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만약 이 연결 볼트 하나가 ‘똑’ 하고 부러진다면 어떻게 될까요? 척추는 그 즉시 구조적인 지지력을 잃고 흔들리기 시작할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척추분리증’과 ‘척추전방전위증’의 이야기를 시작하는 가장 적절한 비유입니다. 이 두 질환은 이름도 비슷하고, 종종 함께 발견되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혼동하지만, 사실은 명확한 ‘원인과 결과’ 관계에 있습니다.

질환명핵심 개념 (비유)의학적 정의
척추분리증
(Spondylolysis)
연결 볼트의 ‘균열’ 또는 ‘파괴’척추뼈 뒤쪽의 협부(pars interarticularis)라는 특정 부위에 금이 가거나 완전히 부러진 상태.[1]
척추전방전위증
(Spondylolisthesis)
볼트가 풀리면서 척추뼈가 ‘미끄러짐’위 척추뼈가 아래 척추뼈보다 앞으로 밀려나가 어긋난 상태.[2]

즉, 척추분리증은 척추전방전위증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연결고리가 끊어지니(분리증), 윗부분의 척추뼈가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앞으로 미끄러져 나가는 것(전방전위증)입니다. 물론, 분리증 없이 퇴행성 변화만으로 전방전위증이 생기기도 합니다. 하지만 두 질환 모두 공통적으로 ‘척추 불안정성(Spinal Instability)’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공유합니다.

척추 불안정성이란, 정상적인 생리적 부하 상태에서 척추가 그 구조적 통합성을 잃어버려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이로 인해 통증이나 신경학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3] 허리를 움직일 때마다 삐끗하는 느낌이 들거나, 특정 자세에서 통증이 심해지는 현상은 바로 이 척추 불안정성 때문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이번 [요통 Macnab] 6편 시리즈에서는 바로 이 척추 불안정성이라는 핵심 키워드를 길잡이 삼아, 척추분리증과 척추전방전위증의 세계를 10페이지에 걸쳐 깊이 있게 탐험하고자 합니다. 10대 운동선수의 허리에서 발견되는 피로 골절부터, 노년의 퇴행성 변화까지, 그 원인과 증상, 진단법, 그리고 가장 중요한 치료와 관리법을 총망라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이 시리즈를 통해 당신의 흔들리는 허리를 바로잡고, 통증의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는 지혜를 얻으시길 바랍니다.


참고 자료

  1. Standaert, C. J., & Herring, S. A. (2000). Spondylolysis: a critical review.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34(6), 415-422. https://bjsm.bmj.com/content/34/6/415
  2. Gagnet, P., et al. (2018). Spondylolysis and spondylolisthesis: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Orthopaedics, 15(2), 404-407.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990218/
  3. Panjabi, M. M. (1992). The stabilizing system of the spine. Part II. Neutral zone and instability hypothesis. Journal of Spinal Disorders, 5(4), 390-397. https://journals.lww.com/jspinaldisorders/Abstract/1992/12000/The_Stabilizing_System_of_the_Spine__Part_II_.2.aspx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