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통 Macnab> 01. 요추 생역학: 허리 통증의 모든 원리, 이 글 하나로 완벽 이해
요추 생역학: 허리 통증의 모든 원리, 이 글 하나로 완벽 이해
“왜 앉아만 있었는데 허리가 끊어질 듯 아플까?”, “물건 하나 들었을 뿐인데 왜 허리를 펴지 못할까?”
이런 갑작스러운 허리 통증의 순간, 대부분의 사람들은 ‘디스크’라는 단어를 떠올리며 덜컥 겁부터 냅니다. 물론 디스크가 통증의 주범인 경우가 많지만, 이는 거대한 빙산의 일각에 불과합니다. 허리 통증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고들면 우리는 반드시 ‘요추 생역학(Lumbar Biomechanics)’이라는 조금은 생소하지만 매우 중요한 개념과 마주하게 됩니다.
요추 생역학이란, 우리 몸의 중심 기둥인 요추(허리뼈)에 가해지는 힘(하중, 압력)과 그에 따른 움직임의 원리를 다루는 학문입니다.[1] 쉽게 말해, 우리가 서고, 앉고, 구부리는 모든 순간에 허리가 어떻게 힘을 받고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입니다. 이 정교한 역학적 균형이 깨질 때, 통증이라는 경고등이 켜지게 됩니다. 따라서 통증의 원리를 이해하고 스스로의 몸을 지키는 만성 통증 자기 관리를 실천하고자 한다면, 요추 생역학에 대한 이해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세계적인 척추 분야의 고전 ‘맥납의 요통(Macnab’s Backache)’을 길잡이 삼아, 허리 통증의 근원을 찾아 떠나는 여정의 첫걸음을 떼려 합니다. 뼈와 디스크, 신경의 기본 구조를 넘어, 모든 움직임과 통증의 열쇠를 쥔 요추 생역학의 세계로 깊이 들어가 보겠습니다. 이 글이 지긋지긋한 통증의 고리를 끊고, 능동적인 만성 통증 자기 관리의 주체가 되는 데 든든한 디딤돌이 되기를 바랍니다.
참고 자료
- Son, B. C. (2010). Spinal Biomechan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sthetics and Orthotics, 4(1), 27-34. http://www.ispokorea.org/file/journal/004/ispokorea004-01-06.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