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방 생리학> 1.2.2 오행 생리의 모든 것: 목화토금수로 풀어보는 인체 사용 설명서
우리 몸의 질서를 설명하는 5가지 언어, 오행(五行)
한의학의 깊은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여정에서, 음양(陰陽)이라는 거대한 두 기둥을 지나면 반드시 마주치게 되는 개념이 바로 오행(五行)입니다. 만약 음양이 세상을 ‘밝음과 어둠’ 또는 ‘활동과 휴식’이라는 두 가지 큰 틀로 설명한다면, 오행은 그 틀 안에서 펼쳐지는 구체적인 변화와 관계의 양상을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라는 다섯 가지 언어로 풀어내는 심오한 시스템입니다.1
특히 오행론은 인체의 생명 활동을 설명하는 한방 생리학과 만났을 때 그 진가를 발휘합니다. 이는 단순히 다섯 가지 원소를 나열하는 것을 넘어, 우리 몸의 장기들이 서로 어떻게 돕고 견제하며, 우리의 감정과 신체 조직이 왜 특정 장기와 연결되는지를 설명하는 하나의 완성된 ‘인체 사용 설명서’가 됩니다. 이처럼 인체에 적용된 오행의 원리를 우리는 ‘오행 생리(五行生理)’라고 부르며, 이는 한의학 진단과 치료의 근간을 이룹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바로 이 오행 생리의 세계를 깊이 있게 탐험하고자 합니다. 독자 여러분이 앞으로 마주할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글의 여정: 오행 생리의 세계를 탐험하는 순서
본문은 오행이라는 개념을 기초부터 차근차근 밟아나가, 최종적으로 우리 몸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오행 생리의 전체적인 그림을 미리 확인해 보세요.
단계 | 주요 내용 |
---|---|
1단계: 기본 개념 | 목, 화, 토, 금, 수 각 오행이 가진 고유의 성질과 특징 이해하기 |
2단계: 기본 관계론 | 서로 돕는 ‘상생(相生)’과 견제하는 ‘상극(相克)’의 원리 파악하기 |
3단계: 심화 관계론 | 균형이 깨졌을 때 나타나는 ‘상모(相侮)’와 질병의 전이 과정인 ‘상자(相子)’ 관계 파악하기 |
4단계: 인체 적용 | 오장, 오부, 오관, 오체, 오지 등 오행 생리가 인체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통합적으로 이해하기 |
이러한 순서를 통해 독자 여러분은 다소 복잡하고 추상적으로 느껴졌던 오행론이, 실제로는 매우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원리를 통해 우리 몸을 설명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그럼, 이제부터 오행 생리의 첫 번째 문을 열고 그 심오한 세계로 함께 들어가 보겠습니다.2
참고 자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오행설(五行說)」, 한국학중앙연구원. 원문 바로가기
- 전국한의과대학 생리학 교수 편저, 『동의생리학 (제3판)』, 의방출판사, 2024. (도서 정보) 관련 정보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