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면역학 (Textbook of Modern Immunology)

머리말: 면역학, 생명의 균형을 탐구하는 여정

Part I: 면역계의 구성 요소와 기본 원리 (Elements and Principles of the Immune System)

이 파트에서는 면역계를 구성하는 세포, 조직, 분자들을 이해하고, 면역 반응의 기본 원리를 학습합니다.

  • Chapter 1: 면역학 서론: 방어와 항상성의 과학
    • 1.1 면역학의 역사와 발전: 제너에서 현대 면역치료까지
    • 1.2 면역계의 핵심 개념: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의 구분, 특이성, 기억
    • 1.3 선천면역과 적응면역: 빠르고 광범위한 방어와 정밀하고 강력한 공격
    • 1.4 면역계의 전체적인 조망: 세포, 조직, 그리고 네트워크
  • Chapter 2: 면역계의 세포와 기관: 군대와 주둔지
    • 2.1 면역세포의 기원과 분화: 조혈모세포로부터의 여정
    • 2.2 선천면역세포: 대식세포, 호중구, 수지상세포, 자연살해세포(NK cell)
    • 2.3 적응면역세포: T 림프구와 B 림프구
    • 2.4 1차 림프기관: 면역세포의 탄생과 성숙 (골수, 흉선)
    • 2.5 2차 림프기관: 면역 반응의 전쟁터 (림프절, 비장, 점막 관련 림프 조직)
  • Chapter 3: 선천면역: 최전선의 파수꾼
    • 3.1 물리적·화학적 장벽: 피부, 점막, 그리고 방어 분자들
    • 3.2 패턴인식수용체(PRR): 적을 알아보는 센서 (TLRs, NLRs 등)
    • 3.3 보체 시스템: 혈액 속의 경보 및 공격 시스템
    • 3.4 염증 반응: 감염과 손상에 대한 우리 몸의 복합적 대응
  • Chapter 4: 항원과 항체: 표적과 유도 미사일
    • 4.1 항원의 조건: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 항원결정기(Epitope)
    • 4.2 항체(면역글로불린)의 구조와 기능
    • 4.3 항체의 종류와 특성: IgG, IgM, IgA, IgE, IgD의 역할
    • 4.4 항원-항체 반응의 원리

Part II: 적응면역 반응의 기전 (Mechanisms of Adaptive Immune Responses)

이 파트에서는 정교하고 강력한 적응면역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T세포와 B세포의 역할을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탐구합니다.

  • Chapter 5: 주조직적합성복합체(MHC)와 항원 제시
    • 5.1 MHC의 유전적 구조와 다양성
    • 5.2 MHC class I과 class II 분자의 구조와 역할
    • 5.3 항원 처리 및 제시 과정: 세포 내부의 적과 외부의 적을 알리는 방법
  • Chapter 6: T 림프구: 면역 반응의 총사령관
    • 6.1 T세포 수용체(TCR)의 구조와 유전자 재배열
    • 6.2 흉선에서의 T세포 성숙: 긍정 선택과 부정 선택
    • 6.3 T세포의 활성화: 2가지 신호 모델과 보조자극분자
    • 6.4 도움 T세포(Helper T cell)의 분화와 기능: Th1, Th2, Th17, Treg
    • 6.5 세포독성 T세포(CTL)의 기능: 감염된 세포의 제거
  • Chapter 7: B 림프구와 체액성 면역
    • 7.1 B세포 수용체(BCR)와 B세포의 발달
    • 7.2 B세포의 활성화와 형질세포로의 분화
    • 7.3 배중심(Germinal Center) 반응: 체세포 과돌연변이와 항체 유형 전환
    • 7.4 면역 기억: 기억 T세포와 기억 B세포의 형성
  • Chapter 8: 사이토카인: 면역세포 간의 대화
    • 8.1 사이토카인의 종류와 기능
    • 8.2 사이토카인 수용체와 신호 전달 경로
    • 8.3 사이토카인 네트워크의 조절과 불균형

Part III: 임상 면역학: 건강과 질병 속의 면역계 (Clinical Immunology: The Immune System in Health and Disease)

이 파트에서는 면역 시스템의 오작동이 어떻게 질병을 유발하는지, 그리고 면역학적 원리를 어떻게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응용하는지를 다룹니다.

  • Chapter 9: 감염 면역: 병원체와의 전쟁
    • 9.1 바이러스, 세균, 진균, 기생충에 대한 면역 반응
    • 9.2 병원체의 면역 회피 전략
    • 9.3 백신의 원리와 개발: 능동면역과 수동면역
  • Chapter 10: 과민반응과 알레르기
    • 10.1 겔-쿰스 분류: 제1형부터 제4형까지의 과민반응
    • 10.2 제1형 과민반응: 알레르기와 아나필락시스의 기전
    • 10.3 알레르기 질환의 진단과 치료 원리
  • Chapter 11: 자가면역질환: 아군을 공격하는 면역계
    • 11.1 면역 관용의 파괴: 자가면역의 발생 기전
    • 11.2 장기 특이적 자가면역질환 (제1형 당뇨병, 그레이브스병 등)
    • 11.3 전신성 자가면역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홍반루푸스 등)
  • Chapter 12: 면역결핍질환
    • 12.1 선천성(1차) 면역결핍: 유전적 결함으로 인한 면역계 이상
    • 12.2 후천성(2차) 면역결핍: 영양실조, 약물, 그리고 HIV/AIDS
  • Chapter 13: 이식 면역: 거부 반응의 이해와 극복
    • 13.1 이식 거부 반응의 기전: 초급성, 급성, 만성 거부 반응
    • 13.2 조직적합성 검사와 면역억제 치료
  • Chapter 14: 종양 면역과 면역항암치료
    • 14.1 종양 항원과 면역 감시 이론
    • 14.2 암세포의 면역 회피 기전
    • 14.3 면역관문억제제, CAR-T 등 최신 면역항암치료의 원리

Part IV: 현대 면역학의 새로운 지평 (Frontiers in Modern Immunology)

이 파트에서는 전통적인 면역학의 경계를 넘어, 다른 학문과 융합하며 새롭게 부상하는 최신 연구 분야를 소개합니다.

  • Chapter 15: 점막 면역과 마이크로바이옴
    • 15.1 장관 관련 림프 조직(GALT)과 구강 면역 관용
    • 15.2 장내 미생물과 면역계의 공생 관계
  • Chapter 16: 면역학과 시스템 생물학
    • 16.1 다중오믹스(유전체, 단백체 등)를 통한 면역계 분석
    • 16.2 면역 반응의 수학적 모델링과 예측
  • Chapter 17: 면역학 연구 기법
    • 17.1 항체를 이용한 분석법: ELISA, 유세포 분석, 면역조직화학염색
    • 17.2 세포 기반 분석법 및 동물 모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