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면역학> I.3.4 염증 반응: 아픈 게 아니라 낫고 있다는 증거, 면역계의 소방 시스템

결론: 불을 끄고 새 삶을 시작하다

결론적으로, 급성 염증 반응은 우리가 두려워해야 할 질병의 과정이 아니라, 우리 몸이 스스로를 지키고 회복시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입니다. 통증과 부종 같은 불편한 증상들은 우리 면역계의 소방 시스템이 화재 현장에서 치열하게 불을 끄고, 잔해를 치우며, 새로운 삶을 위한 재건을 시작하고 있다는 가장 확실한 증거입니다. 이 역동적인 과정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때, 우리 몸은 비로소 상처를 치유하고 원래의 건강한 상태를 되찾을 수 있습니다.1

진정 우리가 경계해야 할 것은 ‘급성’이 아닌, 소리 없이 우리 몸을 파괴하는 ‘만성’ 염증 반응입니다. 이는 꺼지지 않는 불씨처럼 지속되며, 오히려 우리 몸의 시스템을 손상시키는 주범이 됩니다.2 따라서 우리의 목표는 정상적인 급성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식단, 규칙적인 운동, 충분한 수면과 같은 현명한 생활 습관을 통해 불필요한 ‘작은 불씨(만성 염증의 원인)’들을 만들지 않는 것이어야 합니다. 잘 관리된 면역계의 소방 시스템은 필요할 때만 강력하게 작동하고, 임무가 끝나면 신속하게 철수할 줄 압니다.

급성 염증과 만성 염증의 특징 비교

특징급성 염증 (Acute Inflammation)만성 염증 (Chronic Inflammation)
기간짧음 (수 일)길음 (수 주 ~ 수 년)
주요 면역세포호중구, 대식세포대식세포, 림프구 (T, B세포)
결과원인 제거, 조직 회복, 치유조직 파괴, 섬유화, 기능 상실
역할 비유화재 진압 후 철수하는 소방대진압되지 않고 계속되는 산불

지금까지 우리는 염증 반응이라는 거대한 방어 작전의 전체적인 그림을 살펴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이 작전의 최전선에서, 실제로 적과 맞서 싸우고 현장을 지휘하는 ‘행동대원’들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다음 장에서는 염증 현장의 중요한 요소인 ‘항원’과 ‘항체’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1. Serhan, C. N., Brain, S. D., Buckley, C. D., Gilroy, D. W., Haslett, C., O’Neill, L. A., Perretti, M., Rossi, A. G., & Wallace, J. L. (2007). Resolution of inflammation: state of the art, definitions, and charms. The FASEB Journal, 21(2), 325–340. https://doi.org/10.1096/fj.06-7227rev
  2. Furman, D., Campisi, J., Verdin, E., Carrera-Bastos, P., Targ, S., Franceschi, C., Ferrucci, L., Gilroy, D. W., & Fasano, A. (2019). Chronic inflammation in the etiology of disease across the life span. Nature Medicine, 25(12), 1822–1832. https://doi.org/10.1038/s41591-019-0675-0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