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체의 3가지 핵심 공격 전략
활성화된 보체 시스템, 즉 혈액 속 자동화 드론들은 실제로 어떻게 적을 공격할까요? 이 시스템은 놀랍게도 단순한 공격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정밀한 표적 표시, 지원군 호출, 직접 파괴라는 세 가지 임무를 동시에 수행합니다. 각각의 임무는 면역계 내부에서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전략 1: 표적 표시 – 옵소닌화 (Opsonization)
첫 번째 전략은 “여기에 맛있는 적이 있다!”며 적에게 ‘맛의 꼬리표’를 붙이는 방법입니다. 옵소닌화(opsonization)란, 병원체 표면에 ‘맛있는 표식’을 달아 식세포가 더 쉽게 인식하고 잡아먹을 수 있도록 만드는 과정을 의미합니다.1
보체 시스템의 핵심 단백질인 C3가 쪼개져 만들어진 C3b 조각이 병원균 표면에 덕지덕지 붙어 있게 되면, 대식세포와 같은 식세포는 자신의 ‘C3b 수용체’를 통해 이 꼬리표가 붙은 적을 즉각적으로 인식하고 ‘식균작용’을 시작합니다. 꼬리표 없는 박테리아는 놓칠 수 있지만, C3b가 표시된 박테리아는 식세포의 우선 표적이 되어 훨씬 더 효과적으로 제거됩니다. 이 방식 덕분에 보체 시스템은 다른 면역 부대와 긴밀한 협업이 가능해집니다.
전략 2: 지원군 호출 – 염증 유발 (Inflammation)
두 번째 전략은 “모든 부대는 이 좌표로 집결하라!”는 강력한 화학적 사이렌을 울리는 것입니다. 보체 시스템 활성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C3a, C5a와 같은 작은 조각들은 우리 몸에서 가장 강력한 염증 유발 신호(아나필라톡신)로 작동합니다.2
- 이 분자들은 혈관을 확장시켜 면역세포들이 감염 부위로 집결할 수 있도록 길을 넓히고,
- 주변에 떠 있던 호중구와 다른 면역세포들을 정확한 위치로 유인하여 성벽이 뚫린 곳에 지원군을 집중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생기는 ‘염증 반응’은, 감염 부위가 부풀고 붉어지고 통증이 느껴지는 등 몸에서 느끼는 다양한 변화를 유발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보체 시스템과 면역세포들이 합심해 적을 빠르고 정확하게 압도하는 전략적인 작전임을 의미합니다.
전략 3: 직접 파괴 – 막공격 복합체 (MAC) 형성
세 번째 전략은 가장 극적인 직접 파괴 방식, 즉 적의 성벽에 구멍을 내는 ‘공성 드릴’ 혹은 ‘자폭 드론’의 작동입니다. 이것이 바로 막공격 복합체(Membrane Attack Complex, MAC) 형성입니다.3
활성화된 보체 단백질들이 C5b, C6, C7, C8, C9의 순서대로 뭉쳐져 원통 모양의 거대한 복합체를 조립합니다. 이 MAC은 세균, 특히 그람 음성균의 세포막에 박혀 실제로 구멍을 뚫습니다. 그 결과 세균의 안과 밖이 무방비 상태로 연결되어 삼투압이 무너지고, 결국 세균은 내용물이 쏟아져 죽게 됩니다. 이 직접 파괴 전략은 대부분의 바이러스, 곰팡이보다는 박테리아, 특히 대형 세균 감염에서 탁월한 효과를 발휘합니다.
보체 시스템의 3대 공격 전략 요약
전략 | 핵심 분자/구성체 | 주요 역할 | 비유 |
---|---|---|---|
옵소닌화 | C3b | 식세포의 인식 강화, 식균작용 촉진 | 맛의 꼬리표, 표적 레이저 |
염증 유발 | C3a, C5a | 면역세포 유입, 염증반응 | 화학적 사이렌, 집결 신호 |
막공격 복합체 | C5b-C9 (MAC) | 세균 세포막 직접 파괴 | 공성 드릴, 자폭 드론 |
참고 자료
- Walport, M. J. (2001). Complement. Second of two part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4(15), 1140–1144. https://doi.org/10.1056/NEJM200104123441506
- Ricklin, D., & Lambris, J. D. (2013). Complement in immune and inflammatory disorders: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Journal of Immunology, 190(8), 3831-3838. https://doi.org/10.4049/jimmunol.1203487
- Bubeck, D. (2014). The making of the complement membrane attack complex. Biochemistry Society Transactions, 42(4), 713-717. https://doi.org/10.1042/BST20140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