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면역학> I.2.5 면역계 전략 기지: 2차 림프기관 (림프절, 비장, MALT)의 모든 것

최전방의 국경 수비대, 점막 관련 림프 조직 (MALT)

지금까지 살펴본 림프절과 비장이 우리 몸 내부에 침투한 적을 상대하는 ‘지역 사령부’나 ‘중앙 사령부’였다면, 지금부터 소개할 점막 관련 림프 조직(MALT)은 외부 세계와 직접 맞닿는 최전선에 배치된 면역계 전략 기지 또는 ‘최전방 감시 초소(GP)’와 같습니다. 우리 몸의 방어 시스템 중 가장 거대하고, 가장 끊임없이 전투를 치르는 곳이 바로 이곳입니다.

MALT란 무엇인가?

MALT는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의 약자로, 하나의 특정 장기를 지칭하는 말이 아닙니다. 이는 우리 몸의 점막 조직 전반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림프 조직 시스템’ 전체를 의미합니다. 우리 몸의 점막은 소화기, 호흡기, 비뇨생식기 등 외부와 직접 연결되는 통로의 내벽을 덮고 있으며, 그 면적을 모두 펼치면 테니스 코트에 육박할 정도로 광대합니다.1

병원균 입장에서 이 넓은 점막은 우리 몸으로 침투하기 가장 쉬운 ‘정문’과도 같습니다. 따라서 우리 몸은 피부라는 1차 물리적 방어벽 바로 뒤에, 이 MALT라는 강력한 2차 방어선을 구축하여 침입 시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즉각적으로 대응합니다. 즉, MALT는 우리 몸의 가장 취약한 지점을 지키는, 가장 중요한 면역계 전략 기지입니다.

우리에게 친숙한 MALT의 예시들

MALT는 우리 몸 곳곳에 다양한 이름으로 존재하며, 우리에게 매우 친숙한 기관들도 여기에 포함됩니다.

  • 편도 (Tonsils): 우리가 흔히 ‘편도가 부었다’고 말할 때의 그 편도는, 목구멍(인후)을 반지처럼 둘러싸고 있는 가장 대표적인 MALT입니다. 입과 코를 통해 들어오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가장 먼저 만나 전투를 벌이는 최전방 수비대입니다. 편도가 붓고 아픈 것은 바로 이 면역계 전략 기지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고 있다는 명백한 증거입니다.
  • 파이어판 (Peyer’s Patches): 소장에 주로 분포하는 파이어판은, 음식물과 함께 들어오는 수많은 미생물과 항원을 감시하는 장내 면역계 전략 기지입니다. 이곳에는 ‘M세포(Microfold cell)’라는 매우 특별한 정찰병이 존재합니다. M세포는 장 내벽에서 마치 손을 뻗는 것처럼 장 내부의 물질들을 적극적으로 붙잡아(샘플링), 그 바로 아래에 대기하고 있는 수지상세포나 림프구들에게 “이런 것들이 들어왔다”고 전달해주는 독특한 역할을 수행합니다.2

하지만 MALT의 진정한 위대함은 단순히 적을 막는 것에서 그치지 않습니다. MALT, 특히 장에 존재하는 GALT(Gut-associated lymphoid tissue)는 매일 들어오는 수많은 음식물 항원이나 우리 몸에 유익한 공생 미생물(장내 유익균)에 대해서는 불필요한 공격을 하지 않도록 억제하는 ‘면역 관용(Immune Tolerance)’을 학습시키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만약 이 관용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음식 알레르기나 염증성 장질환(IBD)과 같은 질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3 즉, MALT는 싸워야 할 때와 눈감아 주어야 할 때를 아는, 매우 지능적인 면역계 전략 기지인 셈입니다.

주요 점막 관련 림프 조직(MALT) 요약

약어전체 명칭주요 위치핵심 역할
GALTGut-Associated Lymphoid Tissue소장(파이어판), 대장, 편도음식물 및 장내 세균 감시, 면역 관용 유도
BALTBronchus-Associated Lymphoid Tissue기관지흡입된 항원 및 병원균에 대한 호흡기 방어
NALTNose-Associated Lymphoid Tissue비강 (코)비강으로 들어오는 항원에 대한 1차 방어

참고 자료

  1. Brandtzaeg, P. (2010). The mucosal immune system and its integration with the mammary glands. Journal of Pediatrics, 156(2 Suppl), S8-S15. https://doi.org/10.1016/j.jpeds.2009.11.014
  2. Mabbott, N. A., Donaldson, D. S., Ohno, H., Williams, I. R., & Mahajan, A. (2013). Microfold (M) cells: important players in mucosal immune responses. Immunology, 140(2), 125-132. https://doi.org/10.1111/imm.12143
  3. Weiner, H. L., da Cunha, A. P., Quintana, F., & Wu, H. (2009). Oral tolerance. Immunological Reviews, 231(1), 211–222. https://doi.org/10.1111/j.1600-065X.2009.00813.x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