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면역학> I.2.5 면역계 전략 기지: 2차 림프기관 (림프절, 비장, MALT)의 모든 것

전신의 감시 초소, 림프절 (Lymph Nodes)

우리 몸의 면역계 전략 기지 중 가장 널리, 그리고 가장 촘촘하게 분포하는 곳이 바로 림프절입니다. 전신에 거미줄처럼 퍼져있는 림프관 네트워크의 주요 길목마다 자리 잡은 림프절은, 마치 도시 곳곳에 세워진 ‘지역 경찰서’ 또는 국경을 따라 이어진 ‘군사 요충지’와 같습니다. 우리 몸의 조직에서 흘러나온 액체(림프액)는 모두 이 림프절이라는 검문소를 통과해야만 혈액으로 다시 합류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림프절은 림프액에 섞여 들어온 병원균이나 비정상적인 세포들을 효과적으로 걸러내고, 면역 반응을 개시하는 첫 번째 관문 역할을 합니다.1

구조와 기능: 정교하게 구획된 작전 본부

림프절은 단순한 필터가 아닙니다. 그 내부는 면역 반응을 가장 효율적으로 일으키기 위해 매우 정교하게 구획된 작전 본부와 같습니다. 겉은 단단한 피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내부는 크게 바깥쪽의 피질(Cortex)과 안쪽의 수질(Medulla)로 나뉩니다.

특히 중요한 것은 피질이 다시 두 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는 점입니다.

  • B세포 구역 (B cell zone):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며, ‘림프 소절(Lymphoid follicle)’이라는 B세포 집단을 형성합니다.
  • T세포 구역 (T cell zone): B세포 구역 바로 안쪽에 위치하며, T세포들이 밀집해 있습니다.

피부나 조직에서 감염이 발생하면, 그곳에서 병원균의 조각(항원)을 삼킨 수지상세포는 림프관을 타고 가장 가까운 림프절의 T세포 구역으로 들어옵니다. 동시에, 림프액에 떠다니던 병원균 항원은 B세포 구역으로 들어갑니다. 이렇게 T세포와 B세포가 각각 다른 구역에 대기하고 있는 것은, 우연히 만나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역할에 맞게 체계적으로 면역세포 활성화를 진행하기 위한 완벽한 설계입니다.2

활성화의 순간: 정보 교환과 군대 양성

림프절이라는 면역계 전략 기지 내부에서는, 침입자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치열한 면역세포 활성화 과정이 펼쳐집니다.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은 3단계의 드라마틱한 협력 작전으로 이루어집니다.

  1. 1단계 (정보 보고): 림프절의 T세포 구역에 도착한 수지상세포는 자신이 가져온 항원 몽타주를 보여주며, 수많은 T세포들 중에서 이 몽타주를 알아볼 수 있는 운명의 짝(특이적 도움 T세포)을 찾아냅니다. 이 운명적인 만남이 성사되면, 수지상세포는 T세포에게 “이런 적이 나타났으니 작전을 개시하라”는 브리핑을 합니다.
  2. 2단계 (협력 승인): 활성화된 도움 T세포는 이제 T세포 구역과 B세포 구역의 경계로 이동합니다. 그곳에서 같은 항원에 반응하여 이미 1차 신호를 받은 B세포를 만나 “내가 확인했다. 그 적이 맞으니, 지금 즉시 무기(항체) 생산을 시작하라”는 최종 공격 승인을 내립니다. 이 T세포와 B세포의 협력 없이는 강력한 항체 반응이 일어날 수 없습니다.3
  3. 3단계 (군대 양성): 최종 승인을 받은 B세포는 림프 소절의 중심으로 이동하여 ‘배중심(Germinal center)’이라는 특수한 구조를 만듭니다. 이곳에서 B세포는 폭발적으로 증식하며, 더 강력한 항체를 만들기 위한 유전적 개량까지 거칩니다. 그리고 마침내 항체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형질세포’로 분화하여, 수많은 항체들을 혈액으로 내보냅니다.

우리가 감기에 걸리거나 편도가 부었을 때 목 주변이 몽우리가 잡히듯 붓는 이유가 바로 이것입니다. 림프절이라는 한정된 공간 안에서 침입자에 맞서기 위해 수많은 면역세포들이 이처럼 치열하게 증식하고 전투를 준비하기 때문에, 그 면역계 전략 기지 자체가 부풀어 오르는 것입니다.

림프절에서의 면역세포 활성화 단계 요약

단계주요 장소 (림프절 내)핵심 세포주요 이벤트
1. 항원 제시T세포 구역 (Paracortex)수지상세포, 도움 T세포T세포 활성화
2. T-B 세포 협력T-B 구역 경계활성화된 도움 T세포, B세포B세포 활성화 최종 승인
3. B세포 증식/분화B세포 구역 내 배중심 (Germinal Center)B세포, 형질세포, 기억 B세포항체 생산, 면역 기억 형성

참고 자료

  1. Willard-Mack, C. L. (2006). Normal structure, function, and histology of lymphoid organs. Toxicologic Pathology, 34(5), 409–424. https://doi.org/10.1080/01926230600867727
  2. von Andrian, U. H., & Mempel, T. R. (2003). Homing and cellular traffic in lymph nodes. Nature Reviews Immunology, 3(11), 867–878. https://doi.org/10.1038/nri1222
  3. De Silva, N. S., & Klein, U. (2015). Dynamics of B cells in germinal centres. Nature Reviews Immunology, 15(3), 137–148. https://doi.org/10.1038/nri3804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