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촉촉함, 진액의 핵심 기능 ①: 자윤(滋潤) 작용
지금까지 우리는 몸속 수분 진액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떤 종류(진과 액)로 나뉘는지 살펴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이 귀한 생명의 샘물은 구체적으로 우리 몸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요? 진액의 수많은 기능 중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첫 번째 기능이 바로 ‘자윤(滋潤) 작용’입니다. 자윤이란, ‘자양하고(滋) 윤택하게 한다(潤)’는 뜻으로, 온몸 구석구석을 마르지 않게 촉촉이 적셔주는 역할을 의미합니다.[1]
값비싼 화장품을 발라도 피부가 푸석하고, 인공눈물을 넣어도 눈이 뻑뻑한 근본적인 이유는 바로 이 자윤 작용을 수행할 몸속 수분 진액이 부족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우리 몸의 안과 밖을 모두 촉촉하게 지켜주는 진액의 놀라운 자윤 작용에 대해 깊이 알아보겠습니다.
몸의 가장 바깥, 피부와 모발을 적시다
자윤 작용의 효과가 가장 먼저 드러나는 곳은 우리 몸의 가장 바깥을 덮고 있는 피부와 모발입니다. 몸속 수분 진액, 특히 그중에서도 맑고 빠른 ‘진(津)’은 끊임없이 피부와 근육 사이를 순환하며 수분을 공급합니다. 이 덕분에 피부는 마르지 않고 탄력과 윤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2]
만약 몸속 수분 진액이 부족해지면, 피부는 가장 먼저 물 공급이 끊긴 논바닥처럼 건조해지고 각질이 일어나며, 주름이 쉽게 생깁니다. 모발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진액의 자양을 충분히 받지 못한 모발은 윤기를 잃고 푸석거리며, 쉽게 갈라지고 빠지게 됩니다. 결국 건강하고 윤기 나는 피부와 풍성한 머릿결의 비결은 겉에 무언가를 바르는 것 이상으로, 속에서부터 몸속 수분 진액이 원활하게 자윤 작용을 해주는 것에 달려있습니다.
외부와 통하는 문, 구규(九竅)를 보호하다
한의학에서는 우리 몸이 외부와 통하는 9개의 구멍, 즉 구규(九竅: 눈, 코, 귀, 입, 전음, 후음)의 건강 역시 진액의 자윤 작용에 크게 의존한다고 봅니다. 이 구멍들은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쉽게 마를 수 있기 때문에, 진액이 끊임없이 촉촉하게 감싸주어야 제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1]
- 눈(目): 진액이 눈을 자윤하여 뻑뻑함 없이 부드럽게 움직이고, 맑은 시야를 유지하도록 돕습니다. 안구건조증은 단순히 눈물만의 문제가 아니라, 몸 전체의 몸속 수분 진액 부족 신호일 수 있습니다.
 - 코(鼻): 진액이 코 점막을 촉촉하게 유지하여 건조한 공기를 1차적으로 가습하고, 외부 바이러스나 먼지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는 방어막 역할을 합니다.
 - 입(口): 진액의 한 형태인 침(津)이 입안을 마르지 않게 적셔 발음과 음식물 섭취를 원활하게 하고, 구강 내 세균 증식을 억제합니다. 입이 바싹 마르는 구건(口乾) 증상은 진액 부족의 대표적인 증상입니다.[3]
 
몸속 깊은 곳, 장부와 뇌수를 채우다
진액의 자윤 작용은 몸 바깥에만 머무르지 않습니다. 끈적하고 영양가 높은 ‘액(液)’ 형태의 몸속 수분 진액은 몸속 깊숙이 위치한 장부와 뇌수, 골수까지 촉촉하게 적시고 영양합니다.
| 자윤(滋潤) 대상 | 자윤 작용의 효과 | 진액 부족 시 문제점 | 
|---|---|---|
| 피부/모발 | 촉촉하고 윤기 있는 피부, 건강한 모발 유지 | 피부 건조, 주름, 각질, 모발 푸석거림, 탈모 | 
| 눈, 코, 입 (공규) | 안구 보호, 호흡기 1차 방어, 원활한 발음 및 소화 | 안구 건조, 코피, 마른기침, 구강 건조, 구취 | 
| 내부 장기 (오장육부) | 장기가 마르지 않고 원활하게 기능하도록 함 | 장기 기능 저하, 기능성 소화불량, 변비 | 
| 뇌수/골수 | 뇌와 뼈에 영양을 공급하여 정신 활동 및 조혈 기능 유지 | 건망증, 어지럼증, 이명(耳鳴), 골다공증 위험 증가 | 
이처럼 자윤 작용은 피부 표면의 미용적인 문제를 넘어, 우리 몸의 모든 조직과 기관이 제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근본적인 생명 활동입니다. 결국 ‘속부터 촉촉하다’는 것은, 바로 이 몸속 수분 진액이 풍부하여 그 자윤 작용이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피부 겉부터 뼛속까지 막힘없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건강한 증거인 셈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진액의 또 다른 핵심 기능인 ‘유양 작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 ‘기초29 第四章三節 津液(진액)’, 상지대학교 한의학과 원전학교실. – 이 자료는 진액의 기능으로 ‘자윤(滋潤)’과 ‘유양(濡養)’을 설명하며, 진액이 피부(피모), 구멍(공규), 혈맥, 내장, 뼈와 뇌수까지 자윤 및 자양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 ‘한방 음허변증에 따른 피부특성 및 설문 분석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2019. – 이 논문은 “피부에서 진액은 자윤 및 자양 작용을 하여 피부를 촉촉하게 하고 모발을 윤기 있게” 한다고 기술하며, 진액 부족 시 피부 건조가 나타남을 설명합니다.
 - 에코미디어, ‘타액과 구취, 진액과 입냄새’. – 이 기사는 침(타액)을 진액의 일부로 보며, 나이가 들어 진액 분비가 감소하면 침 분비량이 줄어 입마름(구건)과 구취가 발생할 수 있음을 설명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