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 생리학> 1.3.3 몸속 수분 진액, 건조한 내 몸을 촉촉하게 만드는 비밀

‘몸속 수분 진액’이란 무엇일까요? 우리 몸속 생명의 샘물

지난 포스팅에서는 우리 몸이 보내는 건조함의 신호가 단순히 물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더 근본적인 원인인 ‘진액(津液) 부족’일 수 있다는 점을 알아보았습니다. 그렇다면 한의학에서 그토록 중요하게 여기는 몸속 수분 진액이란 과연 무엇일까요? 이번 시간에는 그 본질적인 개념에 대해 조금 더 깊이 파고들어 보겠습니다. 많은 분이 진액을 단순히 ‘몸속의 물’ 정도로 생각하지만, 사실 진액은 그보다 훨씬 복합적이고 생명 활동에 필수적인 물질입니다.

인체를 흐르는 모든 이로운 수분, 진액(津液)

한의학에서 진액(津液)이란 ‘인체 내 모든 정상적인 수액(水液)을 총칭하는 말’입니다.[1] 즉, 우리가 마신 물이 소화 과정을 거쳐 우리 몸에 유익한 형태로 변환된 모든 액체 물질을 의미합니다. 여기에는 위액이나 장액 같은 소화액부터 시작해 눈물, 콧물, 침, 관절을 부드럽게 하는 활액(滑液), 그리고 뇌와 척수를 보호하고 영양하는 뇌척수액까지 포함됩니다.[2]

이처럼 몸속 수분 진액은 특정 한 부위에 고여있는 것이 아니라, 혈액과 함께 온몸을 끊임없이 순환하며 생명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돕는 기반 물질입니다. 만약 우리 몸을 하나의 정교한 기계라고 비유한다면, 몸속 수분 진액은 기계가 뻑뻑해지거나 과열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최상급 윤활유와 냉각수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셈입니다.

진액은 우리가 마시는 ‘물’과 어떻게 다른가요?

가장 중요한 지점입니다. “물을 많이 마시면 몸속 수분 진액도 당연히 많아지는 것 아닌가?”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둘은 명백히 다릅니다. 우리가 섭취한 물은 그 자체로 바로 진액이 되는 것이 아니라, 비위(脾胃)의 소화, 흡수, 운반 작용이라는 정교한 공정을 거쳐야만 비로소 영양가 있는 몸속 수분 진액으로 재탄생할 수 있습니다.[3]

따라서 소화 기능이 약한 사람은 아무리 물을 많이 마셔도 이를 제대로 된 몸속 수분 진액으로 전환시키지 못하고, 오히려 불필요한 수분인 ‘습담(濕痰)’이 쌓여 몸이 붓거나 무거워지는 부작용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아래 표를 통해 그 차이를 명확히 이해해 보세요.

구분섭취하는 물 (飮水)몸속 수분 진액 (津液)
정의외부에서 섭취하는 순수한 액체음식물이 소화되어 생성된, 영양을 포함한 인체 내 모든 정상 수액
특징영양분 미포함, 생명 활동의 원료각종 영양 물질 함유, 생명 활동의 직접적인 참여자
건강과의 관계부족하면 탈수를 유발부족하면 전신적인 건조 증상, 노화 촉진, 기능 저하 유발

생명 활동의 3대 기본 물질: 기(氣), 혈(血), 그리고 진액(津液)

한의학에서는 인체의 생명 활동을 유지하는 가장 중요한 세 가지 기본 물질로 기(氣), 혈(血), 그리고 진액(津液)을 꼽습니다.[1] ‘기’가 보이지 않는 에너지로서 생명 활동의 원동력이 되고, ‘혈’이 온몸에 영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면, 몸속 수분 진액은 이 모든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자윤(滋潤, 촉촉하게 함)하고 유양(濡養, 적셔서 기름)하는 배경이 되어줍니다.

특히 몸속 수분 진액은 혈액의 중요한 구성 성분이기도 합니다. 진액이 부족하면 혈액 역시 끈끈하고 부족해지기 쉬워(津血同源), 결국 기와 혈의 생성과 순환 모두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즉, 몸속 수분 진액이 충분하고 맑게 유지되어야만 우리 몸의 기와 혈도 왕성하게 활동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처럼 진액은 단순한 수분을 넘어, 우리 몸의 건강을 떠받치는 핵심적인 기둥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 자료

  1. 한의학대사전, ‘진액(津液)’. 이 자료는 진액을 ‘몸 안의 체액을 통틀어서 일컬음’으로 정의하며, 인체를 구성하고 생명 활동을 유지하는 기본 물질임을 설명합니다.
  2. 김완희 외, 『한의학원론』, 성보사, 2001. – 이 서적에서는 진액이 뇌수, 골수, 타액, 위액, 장액, 누액 등 인체의 다양한 수액을 포괄하는 개념임을 상세히 기술하고 있습니다.
  3. 동아일보, ‘입춘 후 마른기침&변비, 진액 부족이 원인’. 이 기사에서는 섭취한 음식물이 비위(脾胃)의 작용을 통해 진액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설명하며, 비위 기능 저하가 진액 생성 부족의 주된 원인임을 지적합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