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 생리학> 1.3.1 기의 생리(氣의 生理): 생명 에너지 ‘기’의 모든 것, 원리와 기능 완벽 해설

기의 5대 기능: 인체를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손

우리가 섭취한 음식과 맑은 공기를 통해 생성된 기(氣)는, 우리 몸속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할까요? 기는 단순히 존재하는 에너지를 넘어, 보이지 않는 손처럼 인체의 모든 생명 활동을 적극적으로 주관하고 조절합니다. 한의학에서는 기의 핵심적인 역할을 크게 5가지로 나누어 설명하는데, 이를 ‘기의 5대 기능’이라고 합니다. 이 기능들을 이해하는 것은 우리 몸의 복잡한 기의 생리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파악하는 데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1

추동(推動) 작용: 성장과 순환의 원동력

추동 작용은 기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으로, ‘밀고(推) 움직이게 한다(動)’는 뜻입니다. 이는 인체의 모든 성장, 발육, 생리 활동, 그리고 물질의 순환을 촉진하는 원동력입니다.

  • 성장과 발육: 어린 아이가 자라고, 신체가 발달하는 모든 과정은 기의 추동 작용에 의존합니다.
  • 장부 기능 활성화: 각 장부가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고 활동하는 것을 추동합니다.
  • 혈액과 진액 순환: 혈액이 혈관을 따라 흐르고, 진액(津液)이 온몸에 퍼져나가는 것 역시 기가 뒤에서 밀어주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만약 이 추동 기능이 약해지면, 성장 발육이 더뎌지거나, 장부의 기능이 저하되고, 혈액 순환이 느려져 어혈(瘀血)이 생기는 등 다양한 기의 생리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온후(溫煦) 작용: 체온을 유지하는 따뜻한 힘

온후 작용은 ‘따뜻하게(溫) 데운다(煦)’는 의미로, 기가 우리 몸을 따뜻하게 하여 정상적인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입니다. 인체는 항온 동물로서, 36.5°C라는 일정한 체온이 유지되어야 모든 효소 반응과 생리 기능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기, 특히 양기(陽氣)는 바로 이 체온을 유지하는 열에너지의 근원입니다. 온후 작용이 약해지면 몸이 차가워지고 추위를 잘 타며, 손발이 시리고, 소화 기능이 떨어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방어(防禦) 작용: 외부 사기(邪氣)에 저항하는 힘

방어 작용은 인체의 가장 바깥에서 외부의 나쁜 기운, 즉 사기(邪氣)의 침입으로부터 우리 몸을 지키는 기능입니다. 이는 주로 네 가지 기 중에서 가장 바깥에서 활동하는 위기(衛氣)의 핵심적인 역할입니다.

  • 체표 보호: 피부 표면을 단단하게 하여 외부 병원균의 1차적인 침입을 막습니다.
  • 사기와의 투쟁: 만약 사기가 침입하더라도, 이를 물리치고 몸 밖으로 내보내는 저항 작용을 합니다.
READ  <한방 생리학> 1.3.3 몸속 수분 진액, 건조한 내 몸을 촉촉하게 만드는 비밀

이 기능은 현대 의학의 ‘면역(Immunity)’ 개념과 매우 유사합니다. 방어 기능이 약해지면, 즉 위기가 허약해지면 면역력이 떨어져 감기 같은 외부 질환에 쉽게 걸리게 됩니다. 튼튼한 방어력은 건강한 기의 생리를 위한 필수 조건입니다.

고섭(固攝) 작용: 우리 몸의 물질을 지키는 힘

고섭 작용은 ‘단단하게(固) 단속한다(攝)’는 뜻으로, 우리 몸의 액체성 물질들이 불필요하게 몸 밖으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통제하고, 장기를 제 위치에 고정시키는 매우 중요한 기능입니다.

  • 혈액 고섭: 혈액이 혈관 밖으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막아 출혈을 방지합니다.
  • 체액 고섭: 땀, 소변, 침, 정액 등이 과도하게 배출되지 않도록 조절합니다.
  • 장기 고정: 내부 장기가 중력에 의해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제자리에 고정합니다.

이 고섭 기능이 약해지면, 각종 출혈성 질환(자궁출혈, 혈변 등), 땀을 비정상적으로 많이 흘리는 자한(自汗), 소변을 참지 못하는 요실금, 그리고 위하수나 자궁하수와 같은 장기 탈출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화(氣化) 작용: 물질을 변화시키는 신진대사의 힘

기화 작용은 기의 작용을 통해 인체 내에서 한 물질이 다른 물질로 변화하고 전환되는 모든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인체의 모든 신진대사(Metabolism) 활동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기의 생리 활동 중 가장 근본적이고 역동적인 기능입니다.2

  • 정(精), 기(氣), 혈(血), 진액(津液)의 상호 전환
  • 음식물이 소화되어 영양 물질과 에너지로 변하는 과정
  • 체내의 수액이 대사되어 땀이나 소변으로 변하여 배출되는 과정

기화 작용에 문제가 생기면, 소화불량, 영양 흡수 장애, 부종(Edema) 등 다양한 대사성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복잡한 기의 5대 기능을 한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아래 표로 정리했습니다.

기의 기능핵심 개념기능 저하 시 대표 증상
추동(推動)성장, 순환 촉진성장 부진, 무기력, 혈액 순환 장애
온후(溫煦)체온 유지추위 탐, 손발 차가움, 소화불량
방어(防禦)외부 사기 방어 (면역)감기에 쉽게 걸림, 알레르기
고섭(固攝)물질·장기 고정 및 단속출혈, 다한증, 요실금, 장기 하수
기화(氣化)물질 전환 (신진대사)소화불량, 부종, 대사성 질환

결론적으로, 이 5가지 기능은 각각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유기적으로 협력하며 우리 몸의 복잡한 생명 활동을 유지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이 기들이 실제로 어떻게 움직이는지, 그 운동 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EAD  <한방 생리학> 1.2.2 오행 생리의 모든 것: 목화토금수로 풀어보는 인체 사용 설명서

참고 자료

  1. 전국한의과대학 생리학교수 편저, 『동의생리학 (제3판)』, 의방출판사, 2024. (도서 정보) 관련 정보 바로가기
  2. 이남구, 「氣의 氣化작용과 開闔樞」,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2, 15(2), 58-76. 원문 바로가기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