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 생리학> 1.3.1 기의 생리(氣의 生理): 생명 에너지 ‘기’의 모든 것, 원리와 기능 완벽 해설

기의 종류와 역할: 우리 몸을 지키는 4가지 정예부대

우리가 ‘기(氣)’라고 부르는 생명 에너지는 단일한 형태가 아닙니다. 인체라는 정교한 시스템 안에서 기는 각기 다른 임무를 수행하는 여러 부대로 나뉘어 활동합니다. 한의학에서는 그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네 가지 기(氣)를 통해 우리 몸의 복잡한 생명 활동을 설명합니다. 이는 생명의 뿌리가 되는 부대, 호흡과 순환을 관장하는 부대, 영양을 공급하는 부대, 그리고 외부의 적으로부터 몸을 지키는 부대로 비유할 수 있습니다. 이 네 가지 ‘정예부대’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 바로 기의 생리(氣의 生理) 시스템의 구체적인 작동 방식을 파악하는 길입니다.1

원기(原氣): 생명의 뿌리가 되는 근본 에너지

원기는 우리 몸의 모든 기(氣) 중에서 가장 근본이 되는 뿌리 에너지입니다. 이는 부모로부터 물려받아 신장(腎)에 저장된 선천의 정기(精氣)로부터 생성되며, 우리 생명 활동의 가장 원초적인 동력원 역할을 합니다. 마치 자동차의 엔진과 같아서, 원기가 충만해야만 다른 모든 장부 조직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원기는 전신을 순환하며 인체의 성장, 발육, 생식 기능을 촉진하고 각 장부의 생리 활동을 추동합니다. 건강한 기의 생리는 튼튼한 원기에서 시작됩니다.

종기(宗氣): 호흡과 심장 박동을 주관하는 가슴의 기

종기는 ‘가슴에 모이는 기’라는 뜻으로, 우리가 살아가면서 얻는 후천의 기(後天之氣)의 일종입니다. 이는 폐(肺)를 통해 들이마신 맑은 공기(淸氣)와 비위(脾胃)에서 흡수한 음식물의 영양분(水穀精微)이 가슴 부위에서 결합하여 생성됩니다.2 종기의 주된 임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심장 박동과 혈액 순환 주관: 심장의 힘찬 박동을 추동하여 혈액이 전신으로 뻗어 나갈 수 있도록 합니다.
  • 호흡 기능 주관: 폐의 호흡 운동을 직접적으로 조절합니다. 종기가 부족하면 호흡이 짧고 얕아집니다.
  • 목소리와 관련: 목소리의 크기나 성량 역시 종기의 강약과 관련이 깊습니다.

영기(營氣): 혈액과 함께 흐르는 영양 에너지

영기는 ‘영양을 공급하는 기’라는 뜻으로, 이름 그대로 우리 몸에 영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비위(脾胃)에서 생성된 수곡정미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혈액과 함께 맥관(脈管) 안을 순환합니다. 영기는 혈액의 중요한 구성 성분이 되어 전신의 장부와 조직에 영양분을 전달합니다. 혈액이 붉은색을 띠는 것도 영기의 작용 덕분이라고 봅니다. 상대적으로 차분하고 내부를 흐르기 때문에 ‘음(陰)’적인 성질을 가지며, 안정적인 기의 생리 활동에 필수적입니다.

위기(衛氣): 외부의 적으로부터 몸을 지키는 방어 에너지

위기는 ‘몸을 보위(保衛)하는 기’라는 뜻으로, 네 가지 기 중에서 가장 바깥에서 활동하는 방어 부대입니다. 위기는 음식물에서 생성되지만, 영기와 달리 맥관 밖으로 나와 피부와 근육 사이를 매우 빠르고 활발하게 순환합니다. 성질이 날래고 용맹하여 ‘양(陽)’적인 특성을 가집니다. 위기의 주요 임무는 현대 의학의 면역 기능과 매우 유사합니다.

  • 외부 사기(邪氣) 방어: 피부 표면을 지키며 외부의 병원균(풍한서습조화, 風寒暑濕燥火)이 침입하는 것을 막습니다.
  • 체온 조절: 몸을 따뜻하게 데워 정상 체온을 유지합니다.
  • 땀구멍 조절: 땀구멍(한공, 汗孔)을 여닫아 땀의 분비를 조절하고 체액이 불필요하게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합니다.

우리가 흔히 “기운이 허해서 감기에 잘 걸린다”고 말할 때, 이는 위기가 약해져 방어 능력이 떨어진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기의 생리적 관점에서 매우 정확한 표현입니다.

이 네 가지 기의 특징과 역할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아래 표로 정리했습니다.

기의 종류생성 근원분포 위치주요 기능
원기(原氣)선천의 정기 (신장)전신 (삼초를 통해)생명 활동의 근본 동력
종기(宗氣)공기 + 음식물 (폐, 비위)가슴호흡, 심장 박동 주관
영기(營氣)음식물 (비위)맥관 안 (혈액 속)전신에 영양 공급
위기(衛氣)음식물 (비위)맥관 밖 (피부, 근육)외부 방어, 체온 조절

이처럼 원기, 종기, 영기, 위기는 각자의 위치에서 고유한 임무를 수행하며 우리 몸의 생명 활동을 지탱합니다. 이 네 가지 기가 조화롭게 제 역할을 할 때, 비로소 건강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습니다. 다음 페이지에서 각각의 현대 의학적 해석을 간단하게 살펴보고, 이 기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1. 허준 (원저), 동의문헌연구실 (편역), 『신대역 동의보감』 – 「내경편」, 법인문화사, 2005. (원문 정보) 관련 정보 바로가기
  2. 유정림, 이원철, 「『黃帝內經』의 宗氣에 대한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9, 22(3), 133-146. 원문 바로가기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