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氣)란 무엇인가? – 개념과 생성 과정
한의학의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첫걸음은 바로 ‘기(氣)’의 개념을 바로 아는 것에서부터 시작됩니다. 기(氣)는 단순히 ‘에너지’나 ‘힘’이라는 한 단어로 정의하기 어려운, 매우 깊고 복합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는 인체와 우주 만물을 구성하는 가장 근본적인 실체이자, 모든 생명 현상을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입니다. 이러한 기의 본질과 작동 원리를 탐구하는 것이 바로 기의 생리(氣의 生理) 학문의 핵심입니다.
기의 이중적 개념: 생명의 물질이자 기능 에너지
한의학에서 기(氣)는 두 가지 중요한 측면을 동시에 가집니다. 바로 ‘물질’로서의 기와 ‘기능’으로서의 기입니다.1
- 물질로서의 기(氣): 기는 인체를 포함한 우주 만물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미세한 입자입니다.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끊임없이 움직이며 모든 존재의 바탕을 이룹니다.
- 기능으로서의 기(氣): 기는 인체의 모든 생명 활동을 추동하는 에너지이자 힘입니다. 혈액을 순환시키고, 체온을 유지하며, 외부의 병균과 싸우고, 음식을 소화시키는 등 우리 몸의 모든 기능적 활동은 기의 작용에 의해 일어납니다.
이처럼 기는 우리 몸을 구성하는 ‘재료’인 동시에, 그 재료로 만들어진 몸을 움직이게 하는 ‘동력’이기도 합니다. 이 이중적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기의 생리를 파악하는 첫 단추입니다.
생명의 에너지는 어디에서 오는가? (기의 생성)
그렇다면 우리 몸의 활력을 책임지는 이 기(氣)는 과연 어디에서 만들어지는 것일까요? 기의 생리에서는 기의 근원을 크게 두 가지, 즉 ‘선천(先天)’과 ‘후천(後天)’으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선천의 기(先天之氣): 생명의 뿌리, 타고난 에너지
선천의 기는 말 그대로 태어나기 전,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가장 근본적인 생명 에너지를 말합니다. 이를 ‘정기(精氣)’라고도 부르며, 우리 몸의 신장(腎)에 저장됩니다.2 이는 마치 자동차의 엔진이나 배터리처럼, 우리 삶 전체를 지탱하는 기본 동력원입니다. 선천의 기는 생명 활동의 뿌리가 되며, 성장, 발육, 생식 등 인간의 근본적인 생명 현상을 주관합니다. 한정된 양을 가지고 태어나므로, 이를 아끼고 잘 보존하는 것이 건강과 장수의 기본이 됩니다.
후천의 기(後天之氣): 살아가며 얻는 에너지
후천의 기는 태어난 이후, 외부로부터 끊임없이 섭취하여 보충하는 에너지를 의미합니다. 자동차가 계속 달리기 위해 연료를 주입해야 하는 것과 같습니다. 후천의 기는 주로 두 가지 경로를 통해 만들어집니다.
- 수곡정미(水穀精微):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물이 비위(脾胃)의 소화 작용을 통해 흡수된 영양 물질입니다. 이는 기를 생성하는 가장 중요한 재료가 됩니다.
- 청기(淸氣): 폐(肺)의 호흡 작용을 통해 들이마시는 자연계의 맑은 공기입니다. 이 또한 기를 생성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종합: 선천과 후천의 조화로 완성되는 기(氣)
결론적으로, 우리 몸에서 순환하는 기는 이 두 가지가 합쳐져 완성됩니다. 즉, 신장에 저장된 선천의 기를 바탕으로, 비위와 폐가 만들어내는 후천의 기가 끊임없이 보충되면서 전신을 순환하는 기(眞氣)가 생성되는 것입니다. 건강한 기의 생리 상태란, 타고난 선천의 기를 잘 보존하면서, 좋은 음식과 맑은 공기를 통해 후천의 기를 꾸준히 채워주는 조화로운 상태를 의미합니다.
기의 생성 과정을 한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아래 표로 정리했습니다.
구분 | 원천 | 주관 장부 | 특징 |
---|---|---|---|
선천의 기 |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정기(精氣) | 신장(腎) | 생명의 근본, 타고난 에너지 |
후천의 기 | 음식물 (수곡정미) | 비위(脾胃) | 살아가면서 보충하는 에너지 |
자연의 공기 (청기) | 폐(肺) |
이제 기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았으니, 다음으로는 우리 몸에서 각기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기의 종류들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 김정현, 「『黃帝內經』의 氣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관련 정보 바로가기
- 전국한의과대학 생리학교수 편저, 『동의생리학 (제3판)』, 의방출판사, 2024. (도서 정보) 관련 정보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