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방 생리학> 1.3.1 기의 생리(氣의 生理): 생명 에너지 ‘기’의 모든 것, 원리와 기능 완벽 해설
“기운 없다”는 말 속에 숨겨진 생명의 비밀, 기(氣)
우리는 일상 속에서 ‘기(氣)’라는 말을 참 많이 사용합니다.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 때 “아, 기운 없어”라고 말하고, 어이없는 상황에 “기가 막히네”라며 혀를 차기도 합니다. 반면 컨디션이 좋을 때는 “활기가 넘친다”고 표현하죠. 이처럼 ‘기’는 우리의 상태를 표현하는 매우 친숙한 단어입니다. 하지만 이 표현들이 단순한 관용구를 넘어, 한의학에서 인체의 가장 근본적인 물질이자 생명 활동의 원동력으로 보는 ‘기(氣)’의 개념과 깊이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1
한의학에서 기(氣)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우리 몸을 구성하고, 움직이게 하고, 지켜주는 모든 에너지의 근원입니다. 우리가 느끼는 활력, 체온, 면역력, 소화력 모두가 이 기의 작용에 달려 있습니다. 즉, 인체의 모든 생명 현상은 ‘기’의 생성과 순환, 그리고 기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이러한 기의 작동 원리를 탐구하는 학문이 바로 ‘기의 생리(氣의 生理)’입니다. 현대 과학의 언어로 비유하자면, 인체라는 정교한 하드웨어를 구동하는 보이지 않는 ‘소프트웨어’ 또는 ‘운영체제’와도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바로 이 생명의 핵심 동력인 기의 생리 전반을 체계적으로 탐구하고자 합니다. 막연하게만 느껴졌던 ‘기’가 우리 몸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떤 종류가 있으며,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그 비밀을 하나씩 풀어보겠습니다. 이 글의 여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글의 여정: 기의 생리, 핵심 탐구 순서
본문은 기(氣)라는 개념을 기초부터 시작하여,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구체적인 생리 현상과 연결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앞으로 펼쳐질 기의 생리 세계를 한눈에 확인해 보세요.
탐구 단계 | 주요 내용 |
---|---|
1단계: 개념과 생성 | 생명 에너지 ‘기’란 무엇이며, 어디에서 만들어지는가? |
2단계: 기의 종류 | 원기(原氣), 종기(宗氣), 영기(營氣), 위기(衛氣)의 각기 다른 역할 이해하기 |
3단계: 기의 기능 | 추동, 온후, 방어, 고섭, 기화 작용 등 우리 몸을 움직이는 기의 5대 기능 파악하기 |
4단계: 기의 운동 | 생명의 리듬, ‘승강출입(昇降出入)’과 그 조절 메커니즘인 ‘기기(氣機)’ 이해하기 |
이러한 순서를 따라가다 보면, “기운이 없다”는 한마디가 내 몸의 어떤 기의 생리적 불균형을 의미하는지 어렴풋이나마 짐작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그럼 이제, 우리 몸의 활력을 책임지는 보이지 않는 에너지, 기(氣)의 세계로 함께 들어가 보겠습니다.2
참고 자료
- 김완희, 「’氣’의 다의성과 그 번역의 문제」, 『동서철학연구』, 2011, 60, 245-267. 원문 바로가기
- 전국한의과대학 생리학교수 편저, 『동의생리학 (제3판)』, 의방출판사, 2024. (도서 정보) 관련 정보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