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 생리학 총론

서문 (Preface)

  • 한방 생리학의 의의와 현대적 가치
  • 이 시리즈의 구성과 학습 목표

제1부 | 한방 생리학의 기초 이론 (總論)

제1장: 한방 생리학 서설

  1. 한방 생리학의 정의와 연구 범위
  2. 한방 생리학의 주요 특징 (정체관념, 음양오행, 장부경락 중심)
  3. 한의학의 발전과 생리학의 역사적 고찰

제2장: 생명의 철학적 기반: 음양오행론 (陰陽五行論)

  1. 음양론 (陰陽)
    • 음양의 기본 개념과 속성 (대립, 호근, 소장, 전환)
    • 인체 조직 구조의 음양
    • 인체 생리 기능의 음양
    • 인체와 자연의 상응 관계에서의 음양
  2. 오행론 (五行)
    • 오행의 기본 개념과 속성 (목, 화, 토, 금, 수)
    • 오행의 상생(相生)과 상극(相克) 관계
    • 오행의 상모(相侮)와 상자(相子) 관계
    • 인체 생리에 적용된 오행론 (오장, 오부, 오관, 오체, 오지 등)

제3장: 인체를 구성하는 정미로운 물질: 정·기·신·혈·진액

  1. 기 (氣)
    • 기의 개념과 생성 과정
    • 기의 종류 (원기, 종기, 영기, 위기)
    • 기의 기능 (추동, 온후, 방어, 고섭, 기화)
    • 기의 운동 (승강출입)과 기기(氣機)
  2. 혈 (血)
    • 혈의 개념과 생성 과정
    • 혈의 기능 (자양, 정신활동의 물질적 기초)
    • 혈의 운행 (심, 폐, 비, 간의 역할)
  3. 진액 (津液)
    • 진액의 개념, 생성, 수포 및 배설
    • 진(津)과 액(液)의 구분
    • 진액의 기능 (자윤, 유양)
  4. 정 (精)
    • 정의 개념과 종류 (선천지정, 후천지정)
    • 정의 기능 (생장, 발육, 생식)
    • 정과 신장의 관계
  5. 신 (神)
    • 광의와 협의의 신
    • 신의 기능과 정신·사유 활동
    • 오장(五臟)에 깃든 신 (혼, 신, 의, 백, 지)
  6. 정·기·혈·진액의 상호관계
    • 기혈(氣血)의 관계 (기는 혈의 스승, 혈은 기의 거처)
    • 기진(氣津)의 관계 (기화, 운반, 고섭)
    • 정혈(精血)의 관계 (정혈동원)

제2부 | 생명 활동의 중심: 장부 생리 (臟腑論)

제4장: 오장 생리 (五臟生理)

  1. 간 (肝)
    • 소설(疏泄) 기능: 기기 조절, 정신·정서 조절, 소화 촉진
    • 장혈(藏血) 기능: 혈액량 조절, 월경 조절
    • 간의 부속기관 (근,爪, 목) 및 정서 (노)와의 관계
  2. 심 (心)
    • 혈맥(血脈) 주관: 혈액 운행의 동력
    • 신(神)을 저장: 정신, 의식, 사유 활동의 중심
    • 심의 부속기관 (맥, 면, 설) 및 정서 (희)와의 관계
    • 심포(心包)의 생리 기능
  3. 비 (脾)
    • 운화(運化) 기능: 수곡정미와 수습 운화
    • 통혈(統血) 기능: 혈액이 맥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통섭
    • 승청(升淸) 기능
    • 비의 부속기관 (기육, 사지, 구) 및 정서 (사)와의 관계
  4. 폐 (肺)
    • 기(氣) 주관 및 호흡 조절
    • 선발(宣發)과 숙강(肅降) 기능
    • 수도(水道) 통조: 수액대사 조절
    • 조백맥(朝百脈) 기능
    • 폐의 부속기관 (피모, 비, 후) 및 정서 (비)와의 관계
  5. 신 (腎)
    • 장정(藏精): 생장, 발육, 생식 기능 주관
    • 수(水) 주관: 수액대사의 핵심
    • 납기(納氣) 기능
    • 주골생수(主骨生髓), 뇌(腦)와 통함
    • 신의 부속기관 (골, 치, 이, 이음) 및 정서 (공)와의 관계
    • 명문(命門) 이론

제5장: 육부 생리 (六腑生理)

  1. 담 (膽): 담즙 저장 및 배설, 결단 주관
  2. 위 (胃): 수납과 부숙(腐熟) 기능, 하강(下降)을 주관
  3. 소장 (小腸): 수성(受盛)과 화물(化物), 비별청탁(泌別淸濁) 기능
  4. 대장 (大腸): 전도(傳導) 기능, 조박(糟粕) 형성
  5. 방광 (膀胱): 진액 저장 및 배설, 기화(氣化) 작용
  6. 삼초 (三焦): 기의 승강출입 통로, 수도(水道) 통조

제6장: 기항지부 및 기타 기관 생리 (奇恒之腑)

  1. 뇌(腦), 수(髓), 골(骨), 맥(脈), 여자포(女子胞)의 생리 기능

제7장: 장부 간의 상호 관계

  1. 장(臟)과 장(臟)의 관계 (심신, 심폐, 심간, 간비, 간신, 폐비, 폐신 등)
  2. 장(臟)과 부(腑)의 관계 (표리관계 중심)
  3. 부(腑)와 부(腑)의 관계 (소화와 배설 과정 중심)

제3부 | 생명력의 통로: 경락 생리 (經絡論)

제8장: 경락계의 구성

  1. 십이경맥(十二經脈)의 구성과 특징
  2. 기경팔맥(奇經八脈)의 구성과 기능
  3. 십오별락(十五別絡), 십이경근(十二經筋), 십이피부(十二皮部)

제9장: 경락의 생리 기능

  1. 생리적 기능: 기혈 운행, 장부와 체표 연결, 전신 조절
  2. 감응과 전도 작용

제4부 | 특수 생리와 응용 (特殊生理)

제10장: 형체, 관규, 정지 생리

  1. 오체(五體): 피모, 기육, 근, 맥, 골의 생리
  2. 오관(五官)과 구규(九竅)의 생리
  3. 칠정(七情)과 오지(五志)의 생리적 역할과 조절

제11장: 체질 생리학: 사상의학 (四象醫學)

  1. 사상체질의 형성 원리 (성명론)
  2. 태양인(太陽人)의 장부대소와 생리적 특징
  3. 소양인(少陽人)의 장부대소와 생리적 특징
  4. 태음인(太陰人)의 장부대소와 생리적 특징
  5. 소음인(少陰人)의 장부대소와 생리적 특징

제12장: 생명 주기에 따른 생리

  1. 잉태와 태아의 발육
  2. 출생, 성장, 장년기 생리
  3. 노화와 쇠약의 생리적 기전
  4. 수면과 꿈의 생리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