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계 방어선: 비마약성 진통제 (소염진통제 & 아세트아미노펜)
통증과의 전쟁에서 가장 먼저 투입되는 병력이자, 우리의 약 상자에 가장 흔하게 자리 잡고 있는 약들이 바로 ‘비마약성 진통제’입니다. 이들은 중독의 위험 없이 통증을 조절하는 1단계 방어선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가장 흔하기에, 가장 잘 알고 사용해야 하는 약이기도 합니다. 효과적인 만성 통증 약물 치료는 이 기본 무기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합니다.
소염진통제 (NSAIDs): 염증과 통증을 동시에 잡는 약
밝은 면(명/明): NSAIDs의 작용 원리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덱시부프로펜 등으로 대표되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는 이름 그대로 염증을 가라앉혀(소염) 통증을 줄여주는(진통) 약입니다. 우리 몸에 손상이나 염증이 생기면 ‘프로스타글란딘’이라는 물질이 분비되어 통증, 발열, 부종을 유발합니다. NSAIDs는 바로 이 프로스타글란딘을 만들어내는 효소(COX)를 억제하여 통증과 염증의 근본 원인을 차단합니다. 따라서 관절염, 근육통, 생리통 등 염증을 동반하는 통증에 특히 효과적입니다. 이는 만성 통증 약물 치료의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
어두운 면(암/暗): NSAIDs의 대표적인 부작용
문제는 프로스타글란딘이 통증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위벽을 보호하고 신장 기능을 조절하는 착한 역할도 함께 한다는 점입니다. NSAIDs는 이 좋은 프로스타글란딘까지 무차별적으로 억제하기 때문에, 장기간 복용 시 여러 부작용을 낳을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것이 속쓰림, 소화불량, 심하게는 위장 출혈과 같은 위장관계 부작용입니다. 또한 신장으로 가는 혈류를 감소시켜 신장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혈압을 높이거나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약간 증가시킬 수도 있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 위장 부담이 적은 대안
밝은 면(명/明): 아세트아미노펜의 작용 원리
타이레놀의 주성분으로 유명한 아세트아미노펜은 소염진통제(NSAIDs)와는 다른 길을 걷는 진통제입니다. 말초 조직의 염증을 가라앉히는 효과는 거의 없지만, 대신 뇌와 척수 같은 중추신경계에 직접 작용하여 통증 신호를 조절하고 열을 내리는 효과를 냅니다. 위벽을 보호하는 프로스타글란딘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NSAIDs의 가장 큰 단점인 위장 장애 부담이 훨씬 적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만성 통증 약물 치료 약이기도 합니다.
어두운 면(암/暗): 간 손상이라는 치명적 위험
하지만 아세트아미노펜에는 매우 중요하고 치명적인 한계가 있습니다. 바로 과다 복용 시 심각한 간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아세트아미노펜은 간에서 대사되는데, 한 번에 너무 많은 양이 들어오면 간세포를 파괴하는 독성 물질이 생성됩니다. 특히 다른 감기약이나 복합 진통제에도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이 포함된 경우가 많아, 자신도 모르게 과다 복용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성인의 경우 하루 최대 용량(보통 4,000mg)을 절대 넘기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효과적인 만성 통증 약물 치료를 위해서는 용법과 용량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소염진통제(NSAIDs) vs 아세트아미노펜: 핵심 비교
구분 | 소염진통제 (NSAIDs) | 아세트아미노펜 |
---|---|---|
주요 작용 | 진통 + 소염(염증 억제) | 진통 + 해열 |
작용 부위 | 주로 말초 조직 (염증 부위) | 주로 중추신경계 (뇌, 척수) |
장점 | 염증성 통증에 효과적 | 위장 장애 부담이 적음 |
주요 부작용 | 위장 장애 (속쓰림, 출혈), 신장 부담 | 과다 복용 시 심각한 간 손상 |
이 표는 가장 기본적인 두 비마약성 진통제의 장단점과 선택 기준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참고 자료
- Vane, J. R. (1971). Inhibition of prostaglandin synthesis as a mechanism of action for aspirin-like drugs. Nature new biology, 231(25), 232–235. 아스피린 계열 약물(NSAIDs의 시초)이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작용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 노벨상을 받은 역사적인 논문입니다. https://www.nature.com/articles/newbio231232a0
-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FDA 공식 자료로, NSAIDs가 위장 출혈, 궤양, 심장마비 및 뇌졸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경고하고 안전한 사용을 위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https://www.fda.gov/drugs/postmarket-drug-safety-information-patients-and-providers/non-steroidal-anti-inflammatory-drugs-nsaids
- Acetaminophen. Cleveland Clinic. 클리블랜드 클리닉의 환자 정보로, 아세트아미노펜이 위장에 부담이 적은 대신 과다 복용 시 간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을 명확히 설명하고, 하루 최대 복용량을 준수할 것을 강조합니다.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rugs/11025-acetaminoph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