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 일반> 2-1 침해성 통증이란? 찌르는 체성 통증과 욱신거리는 내장성 통증의 차이

두 번째 유형: ‘내장성 통증 (Visceral Pain)’ – 모호하고 뻐근한 통증

앞서 우리는 위치가 명확한 ‘체성 통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하지만 모든 침해성 통증이 그렇게 친절하게 자신의 위치를 알려주는 것은 아닙니다. 때로는 어디가 아픈지 정확히 짚어내기 어려운, 불쾌하고 모호한 통증에 시달리기도 합니다. 이것이 바로 침해성 통증의 두 번째 얼굴, ‘내장성 통증’입니다.

어디가 아픈지 정확히 모를 때

내장성 통증(Visceral Pain)은 이름 그대로 복부나 흉부의 내부 장기(Viscera), 즉 위, 장, 자궁, 방광 등에서 발생하는 통증을 말합니다. 이 통증은 체성 통증과 몇 가지 결정적인 차이점을 보입니다.

  • 모호한 위치: 내장성 통증의 가장 큰 특징은 통증 부위가 넓게 퍼져 있어 정확한 지점을 특정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배 전체가 뻐근해요” 또는 “가슴이 답답해요”처럼 표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내부 장기에 분포하는 통증 센서(통각수용기)의 수가 피부보다 훨씬 적고 덜 촘촘하기 때문입니다.
  • 깊고 뻐근한 양상: 통증의 느낌 또한 다릅니다. 날카롭기보다는 쥐어짜는 듯한(cramping), 뻐근한(dull), 더부룩한, 압박감과 같은 깊은 곳에서 오는 불쾌한 느낌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핵심 개념 ‘연관통(Referred Pain)’: 내 어깨는 왜 아플까?

내장성 통증을 더욱 헷갈리게 만드는 주범은 바로 ‘연관통(Referred Pain)’이라는 신비로운 현상입니다. 연관통이란, 실제 문제가 생긴 내장 기관이 아닌 전혀 다른 신체 부위(어깨, 등, 팔 등)에서 통증이 느껴지는 것을 말합니다.

왜 이런 일이 발생할까요? 비유하자면, 척수라는 ‘환승역’에서 신경들이 ‘잘못된 노선’을 타기 때문입니다. 내부 장기에서 오는 신경과 특정 피부 부위에서 오는 신경은 척수의 같은 지점에서 만나 뇌로 올라가는 하나의 경로를 공유합니다. 이때, 뇌는 평소에 정보가 훨씬 더 자주 들어오는 피부 쪽에서 신호가 온 것이라고 착각하기 쉽습니다. 그 결과, 심장에 문제가 생겼는데도 왼쪽 팔이 아프다고 느끼거나, 쓸개(담낭)에 문제가 생겼는데 오른쪽 어깨가 아프다고 느끼는 등의 혼선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침해성 통증의 매우 중요하고 특징적인 현상입니다.

대표적인 연관통(Referred Pain)의 패턴

문제가 발생한 장기통증이 느껴지는 부위 (연관통)
심장 (Heart)왼쪽 가슴, 왼쪽 팔 안쪽, 턱
간 / 쓸개 (Liver / Gallbladder)오른쪽 어깨, 등 위쪽
폐 / 횡격막 (Lung / Diaphragm)목, 어깨 위쪽 (특히 쇄골 부근)
위 (Stomach)명치, 등 중앙

이 표는 내부 장기의 문제가 어떻게 다른 신체 부위의 통증으로 나타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내장성 통증의 구체적인 예시로는 우리가 흔히 겪는 생리통, 소화불량으로 인한 복통, 과민성대장증후군, 담석 통증, 맹장염 초기 통증 등이 있습니다. 이 통증들은 모두 우리 몸속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한 중요한 신호, 즉 침해성 통증입니다. 따라서 위치가 모호하고 다른 곳이 아프더라도, 결코 무시해서는 안 됩니다.


참고 자료

  1. Visceral Pain. (2022). Cleveland Clinic. 내장성 통증을 내부 장기에서 발생하는 통증으로 정의하고, 그 원인과 모호한 위치, 쥐어짜는 듯한 양상 등의 특징을 설명합니다.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symptoms/24294-visceral-pain
  2. Arendt-Nielsen, L., & Svensson, P. (2016). Referred muscle pain: basic and clinical findings. Clinical journal of pain, 32(8), 692-698. 연관통의 신경생리학적 기전, 특히 내장 신경과 체성 신경이 척수에서 수렴하여 뇌가 신호 출처를 오인하는 ‘수렴-투사 이론’을 설명합니다. https://journals.lww.com/clinicalpain/abstract/2016/08000/referred_muscle_pain__basic_and_clinical.7.aspx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