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 지나서야 나타나는 문제: 후기 합병증
척추 수술 후 성공적으로 회복하여 한동안 통증 없이 지내던 환자에게 몇 달, 혹은 몇 년 뒤 다시 허리 통증이 찾아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수술이 잘못되어서라기보다는, 우리 몸의 생역학적 변화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후기 합병증’ 때문일 수 있습니다.1 이번 글에서는 당장은 드러나지 않지만, 장기적으로 환자의 삶의 질을 위협할 수 있는 세 가지 대표적인 후기 척추 수술 부작용, 즉 ‘기기 고장’, ‘불유합’, 그리고 ‘인접 분절 질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러한 장기적인 척추 수술 부작용을 이해하는 것은 수술 후 관리가 왜 중요한지를 깨닫는 데 필수적입니다.
1. 금속의 피로: 기기 고장 및 해리 (Hardware Failure)
척추 유합술에 사용되는 나사못과 금속 막대는 뼈가 완전히 붙을 때까지 척추를 안정적으로 고정해주는 ‘내부 깁스’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 금속 기기는 영원히 버틸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아닙니다. 만약 여러 가지 이유로 뼈가 제때 붙지 않는다면(불유합), 우리 몸의 하중과 움직임이 계속해서 금속 기기에 스트레스를 주게 됩니다.2
결국 반복되는 스트레스를 이기지 못하고 금속이 피로해져 나사못이 헐거워지거나(해리), 심지어 부러지는 기기 고장(Hardware Failure)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척추의 불안정성을 다시 유발하여 심한 통증의 원인이 되며, 재수술이 필요한 심각한 척추 수술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골다공증이 심한 환자는 뼈가 약해 나사못을 단단히 잡아주지 못하므로 기기 고장의 위험이 더 높습니다.
2. 붙지 않는 뼈: 불유합/가관절증 (Pseudarthrosis)
불유합(Nonunion), 또는 가관절증(Pseudarthrosis, ‘가짜 관절’이라는 뜻)은 척추 유합술의 가장 근본적인 실패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이는 수술 후 뼈 이식을 한 부위가 단단하게 하나의 뼈로 붙지 않고, 그 사이에 마치 관절처럼 미세한 움직임이 계속 남는 상태를 말합니다.3 뼈가 붙지 않은 부위에서는 지속적인 통증이 유발되며, 이는 앞서 설명한 기기 고장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성공적인 유합은 장기적인 수술 성공의 핵심이며, 이것이 실패할 경우 심각한 척추 수술 부작용을 겪게 됩니다.
불유합의 가장 강력한 위험인자는 바로 ‘흡연’입니다. 니코틴은 뼈로 가는 미세 혈관을 수축시켜 뼈세포의 활동과 혈액 공급을 방해하므로, 척추 외과의사들이 수술 전후 금연을 그토록 강조하는 이유입니다. 그 외에도 여러 마디를 수술하는 경우, 고령, 골다공증, 당뇨 등이 위험 요인으로 꼽힙니다.
3. 풍선 효과: 인접 분절 질환 (Adjacent Segment Disease, ASD)
인접 분절 질환은 척추 유합술 후 발생하는 가장 흔하고도 필연적인 장기 척추 수술 부작용입니다. 수술로 특정 척추 마디를 고정하여 움직이지 못하게 만들면, 그 마디가 담당하던 운동 범위와 하중을 바로 위와 아래의 ‘인접한’ 마디들이 대신 감당해야 합니다.4
이는 마치 여러 칸으로 나뉜 울타리의 한 칸을 콘크리트로 막아버리면, 그 양옆의 울타리에 더 큰 바람의 힘이 쏠리는 것과 같습니다. 이러한 과도한 스트레스는 인접 마디의 디스크, 후관절, 인대의 퇴행성 변화를 가속화시킵니다. 결국 몇 년 뒤, 수술 부위는 괜찮지만 그 위나 아래 마디에 새로운 디스크 탈출증이나 척추관 협착증이 발생하여 다시 통증과 신경 증상을 유발하게 됩니다. 이 척추 수술 부작용은 재수술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합병증 종류 | 주요 내용 | 주요 원인 / 위험 요인 |
---|---|---|
기기 고장 | 나사못 파손, 헐거워짐 | 불유합, 금속 피로, 골다공증 |
불유합/가관절증 | 유합술 후 뼈가 붙지 않음 | 흡연, 다분절 수술, 고령, 당뇨 |
인접 분절 질환 | 수술 마디 위/아래의 퇴행 가속화 | 유합술로 인한 생역학적 스트레스 변화 |
이러한 후기 합병증들은 척추 수술이 단기적인 문제 해결을 넘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우리 척추 전체의 균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따라서 수술을 결정하기 전, 이러한 장기적인 척추 수술 부작용의 가능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수술 후에도 금연, 체중 관리, 꾸준한 근력 강화 등 자신의 척추를 아끼는 노력을 평생 지속해야 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수술했는데 왜 계속 아플까?”라는 환자들의 가장 큰 절망감, ‘척추 수술 실패 증후군(FBSS)’에 대해 집중적으로 파헤쳐 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 Radiopaedia. “Spinal surgery (complications)”. Radiology Reference Article. Available from: https://radiopaedia.org/articles/spinal-surgery-complications
- Hayashi, D., et al. (2012). “Imaging features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fter spinal fusion with instrumentation”. American Journal of Roentgenology, 199(5), 1121-1128. Available from: https://ajronline.org/doi/10.2214/AJR.11.6497
- Yee, T. J., et al. (2020). “Complications of anterior cervical spine surgery”. Journal of Neurosurgery: Spine, 32(4), 483-496. (원리 설명에 참고, pooled rate 2.0%) Available from: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154369/
- Huang, X., et al. (2024). “Risk factors and treatment strategies for adjacent segment disease following spinal fusion surgery: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International Medical Research, 52(1). Available from: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1605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