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신경차단술, 다른 접근법: 후궁간, 추간공, 꼬리뼈 접근법
경막외 신경차단술이 통증의 원인이 되는 신경 주변에 약물을 투여하는 시술임은 이제 알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의사는 어떻게 그 좁고 깊은 곳까지 정확히 찾아갈까요? 정답은 ‘어떤 길로 들어갈 것인가’를 결정하는, 즉 ‘접근 경로’를 선택하는 것에 있습니다. 똑같은 목적지를 가더라도, 고속도로를 탈 수도 있고, 정밀한 국도를 이용할 수도 있는 것과 같습니다.1 이번 글에서는 환자의 상태와 병변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세 가지 주요 접근법을 비교하며, 허리 통증 주사 치료의 정교함을 한층 더 깊이 이해해 보겠습니다.
1. 가장 넓게, 가장 보편적으로: 후궁간 접근법 (Interlaminar Approach)
후궁간 접근법은 가장 전통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허리 통증 주사 방법입니다. 환자가 엎드린 상태에서 척추뼈의 뒤쪽 중앙, 즉 ‘후궁(Lamina)’ 사이의 공간을 통해 바늘을 삽입하여 경막외 공간에 도달합니다.2
이 방법의 가장 큰 특징은 허리 통증 주사 약물이 비교적 넓은 범위에 걸쳐 ‘샤워하듯이’ 퍼져나간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특정 신경 뿌리 하나가 아닌, 척추관 중앙의 문제(중심성 협착증)나 여러 분절에 걸친 염증을 전반적으로 가라앉히는 데 효과적입니다. 시술이 비교적 간단하고, 넓은 부위를 커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명중률 높은 저격수: 추간공 접근법 (Transforaminal Approach)
추간공 접근법은 신경차단술의 ‘정밀 타격’ 버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척추뼈와 척추뼈 사이에는 신경 뿌리가 빠져나가는 작은 구멍인 ‘추간공(Foramen)’이 있습니다. 이 접근법은 C-arm을 보면서 옆구리 쪽에서 비스듬히 바늘을 진입시켜, 문제가 되는 바로 그 신경 뿌리 주변에 약물을 직접 주입하는 매우 정교한 기술입니다.3
특정 디스크 탈출로 인해 단일 신경 뿌리가 심하게 압박받는 경우에 가장 큰 효과를 발휘합니다. 또한, 특정 신경에 주사를 놓았을 때 통증이 사라지는지를 확인하여 통증의 원인을 확진하는 진단적 가치가 매우 높은 허리 통증 주사 방법이기도 합니다. 명중률이 높은 만큼, 시술자의 높은 숙련도가 요구됩니다.
3. 안전하고 부드럽게: 꼬리뼈 접근법 (Caudal Approach)
꼬리뼈 접근법은 우리 척추의 가장 아래쪽, 꼬리뼈에 자연적으로 나 있는 작은 구멍(천골열공, Sacral Hiatus)을 통해 가느다란 카테터나 바늘을 삽입하는 방식입니다.4 척수 신경이 끝나는 지점보다 아래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신경 손상의 위험이 거의 없어 매우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경로를 통해 주입된 약물은 아래에서 위로 퍼져나가며, 주로 요추 4-5번, 요추 5번-천추 1번 사이 등 허리 아래쪽 부위의 병변이나, 수술 후 유착으로 인한 통증, 여러 분절에 걸친 만성적인 척추관 협착증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구분 | 후궁간 접근법 | 추간공 접근법 | 꼬리뼈 접근법 |
---|---|---|---|
접근 경로 | 등 중앙 (척추뼈 사이) | 옆구리 (신경 구멍) | 엉덩이 (꼬리뼈 구멍) |
약물 분포 | 넓고 광범위하게 | 특정 신경에 집중 | 아래에서 위로 넓게 |
주요 장점 | 보편적, 넓은 부위 커버 | 정확성, 진단적 가치 높음 | 안전성 높음, 시술 용이 |
주요 대상 | 중심성 척추관 협착증 | 추간판 탈출증(디스크) | 요추 하부 병변, 수술 후 통증 |
결론적으로, 어떤 접근법이 절대적으로 더 우월하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후궁간 접근법은 넓은 지역을, 추간공 접근법은 특정 목표를, 꼬리뼈 접근법은 아래쪽을 공략하는 데 각각의 장점이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의 MRI 소견과 임상 증상을 종합하여, 통증의 원인이 되는 지점에 가장 효과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성공적인 허리 통증 주사 치료를 위해서는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과 판단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척추 관절염에 사용하는 또 다른 허리 통증 주사 후관절 차단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 Manchikanti, L., Malla, Y., Wargo, B. W., et al. (2012). “A systematic review of lumbar interlaminar epidural injections in the treatment of lumbar disc herniation or radiculitis”. Pain physician, 15(5), E581–E610.
- Candido, K. D., & Stevens, R. A. (2003). “The lumbar epidural steroid injection: a review of the risks and benefits”.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anaesthesiology, 17(3), 447–462.
- Manchikanti, L., Cash, K. A., McManus, C. D., et al. (2012). “A randomized, double-blind, active-controlled trial of fluoroscopic lumbar interlaminar epidural injections in chronic axial or discogenic low back pain: results of 2-year follow-up”. Pain physician, 15(6), E785–E800.
- KBS 생로병사의 비밀. (2020). “척추관 협착증 치료법 3 – 꼬리뼈 접근 신경차단술 주사 치료”. YouTube. Available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I7Qv7tIl8v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