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통 Macnab> 14. 요통 원인 감별, 허리 디스크가 아닐 수 있다? (척추, 내부 장기, 전신 질환까지)

감별 진단의 핵심 도구: 문진과 정밀 검사의 조화

요통의 원인을 찾아가는 여정은 하나의 단서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복잡한 퍼즐과 같습니다. 환자의 이야기(문진), 의사의 손(신체검진), 첨단 장비(영상 검사), 그리고 실험실 데이터(혈액 검사)라는 각기 다른 역할을 가진 도구들이 조화롭게 사용될 때, 비로소 통증의 실체에 다가갈 수 있습니다.1 이전 13편에서 우리는 각각의 검사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도구들이 어떻게 협력하여 종합적인 요통 원인 감별을 이뤄내는지, 그 시너지 효과에 초점을 맞춰보겠습니다.

어떤 검사도 단독으로 완벽할 수는 없습니다. MRI가 구조를 보여주지만 기능을 말해주지 못하고, 문진이 방향을 제시하지만 물증이 되지 못하는 것처럼, 각 도구의 장점을 취하고 단점을 보완하는 종합적인 접근이 정확한 진단의 핵심입니다.2

진단 도구별 역할 분담: 각 용의자 특정하기

요통의 다양한 원인(기계적, 비기계적, 내장기성)을 밝혀내기 위해, 각 진단 도구는 저마다의 전문 분야에서 활약합니다.

  • 문진과 신체검진: 모든 수사의 시작점입니다. 통증의 양상, 악화/완화 요인, 위험 신호(Red Flags) 유무를 통해 가장 먼저 기계적 원인인지, 혹은 비기계적/내장기성 원인의 가능성이 있는지를 크게 분류합니다. 의심되는 용의자의 범위를 좁혀 요통 원인 감별을 시작하는 역할을 합니다.
  • 영상 검사 (X-ray, CT, MRI): 문진과 신체검진으로 세운 가설을 물증으로 확인하는 단계입니다. X-ray와 CT는 뼈의 구조적 문제를, MRI는 디스크나 신경 등 연부 조직의 문제를 보여주어 기계적 요통의 원인을 확진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또한, 종양이나 감염 같은 비기계적 원인의 흔적을 찾아내는 데도 필수적입니다.
  • 혈액 검사: 영상 검사로도 알 수 없는 우리 몸 내부의 상태를 알려주는 중요한 보조 도구입니다. 특히 비기계적 요통 원인 감별하는 데 큰 힘을 발휘합니다. 염증 수치(ESR, CRP)가 높다면 감염이나 염증성 척추염을, 특정 유전자(HLA-B27)가 양성이라면 강직성 척추염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3
진단 도구주요 감별 대상 (용의자)역할 및 기여
문진/신체검진기계적 vs 비기계적 vs 연관통진단의 방향 설정, 추가 검사 필요성 결정
영상 검사기계적 요통(디스크, 협착증), 비기계적 요통(종양, 골절)구조적 원인을 눈으로 확인하여 확진
혈액 검사비기계적 요통(감염, 염증성 질환)전신 상태 및 염증 여부 파악
기능 검사 (근전도 등)기계적 요통(신경 손상 정도)실제 신경 기능 손상 여부 및 예후 평가

결론적으로, 정확한 요통 원인 감별은 어느 한 가지 검사법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이야기에서 시작하여 신체 검진으로 가설을 세우고, 영상 검사와 혈액 검사 등으로 그 가설을 증명하거나 반증해 나가는 종합 예술과도 같습니다. 의사는 이 모든 정보를 종합하여 최종 진단을 내리고,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 계획을 제시하게 됩니다.4

다음 글에서는 실제 임상에서 가장 흔하게 혼동되는 세 가지 질환, ‘디스크 파열’, ‘척추관 협착증’, ‘후관절 증후군’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비교하며 요통 원인 감별하는 실전 훈련을 해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1. Deyo, R. A., & Weinstein, J. N. (2001). “Low back pai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4(5), 363–370.
  2. 서울아산병원. “요통(Low back pain)”. 질환백과. Available from: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05
  3. 건국대학교병원. “나도 모르게 시작된 허리통증, 감별 진단과 치료 중요”. 건강정보. 2019. Available from: https://www.kuh.ac.kr/intro/newdata/view.do?bbs_no=2450
  4. MSD 매뉴얼. “의학적 검사 결정”. 일반인용. 2024. Available from: https://www.msdmanuals.com/ko/home/특별-주제/임상-연구-및-의학적-의사-결정/의학적-검사-결정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