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통 Macnab> 14. 요통 원인 감별, 허리 디스크가 아닐 수 있다? (척추, 내부 장기, 전신 질환까지)

연령대별 주요 용의자 리스트

요통의 원인을 찾아가는 수사 과정에서, 환자의 ‘나이’는 용의자의 범위를 획기적으로 좁혀주는 매우 강력한 단서입니다. 특정 척추 질환들은 특정 연령대에서 유독 발생 빈도가 높기 때문입니다.1 10대 학생의 허리 통증과 70대 어르신의 허리 통증은 그 원인이 전혀 다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연령이라는 중요한 단서를 바탕으로, 각 세대별로 주로 발생하는 요통의 원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체계적인 요통 원인 감별의 실마리를 찾아보겠습니다.

물론 이는 통계적인 경향일 뿐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지만, 나이에 따라 척추의 상태와 생활 패턴이 달라지기 때문에, 연령별 호발 질환을 아는 것은 효율적인 요통 원인 감별에 큰 도움이 됩니다.

10대 (청소년기): 성장과 활동의 그림자

성장기인 청소년기의 요통은 척추뼈의 발달 과정과 관련이 깊습니다. 과도한 운동으로 인해 척추뼈의 연결 부위에 피로 골절이 발생하는 ‘척추분리증’이 대표적입니다.2 특히 허리를 뒤로 젖히는 동작을 반복하는 체조, 축구, 야구 선수 등에게서 흔히 발견됩니다. 또한, 장시간 책상에 앉아있는 학생들의 자세 불량으로 인한 근육 긴장 역시 흔한 요통의 원인입니다.

20~40대 (청장년기): 디스크의 수난 시대

사회적으로나 신체적으로 가장 활발한 시기인 청장년기는 ‘추간판 탈출증(허리 디스크)’의 호발 연령대입니다.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갑작스럽게 허리를 비트는 등의 외상, 그리고 반복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디스크가 손상되어 신경을 압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3 급성으로 발생하는 요추 염좌(근육 및 인대 손상) 역시 이 시기에 흔하게 경험하는 요통 원인 감별 대상입니다.

40~60대 (중장년기): 퇴행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

중장년기에 접어들면 척추에도 본격적인 노화, 즉 퇴행성 변화가 시작됩니다. 디스크의 수분 함량이 줄고 탄력을 잃는 ‘퇴행성 디스크 질환’이 만성적인 요통의 주된 원인이 됩니다. 또한, 신경 통로가 서서히 좁아지기 시작하는 ‘척추관 협착증’ 초기 단계가 나타나기도 하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의 요통 원인 감별은 퇴행성 변화와 기존의 디스크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60대 이상 (노년기): 퇴행성 질환의 집합소

노년기의 요통은 오랜 세월 누적된 퇴행성 변화의 총체적인 결과물인 경우가 많습니다. 신경 통로가 심하게 좁아져 보행 장애를 유발하는 ‘척추관 협착증’이 가장 대표적인 질환입니다. 또한, 골밀도가 낮아지는 골다공증으로 인해 가벼운 충격에도 척추뼈가 주저앉는 ‘척추 압박 골절’의 위험이 크게 증가합니다.4 무엇보다 이 연령대에서는 앞서 다룬 ‘척추 종양’과 같은 심각한 질환의 가능성을 절대 배제하지 않고 요통 원인 감별을 진행해야 합니다.

연령대주요 원인 및 환경주요 의심 질환 (용의자)
청소년기 (~19세)성장, 과도한 운동, 자세 불량척추분리증, 근육 긴장
청장년기 (20~40대)활발한 신체 활동, 외상, 반복적 스트레스추간판 탈출증(디스크), 요추 염좌
중장년기 (40~60대)퇴행성 변화 시작, 활동량 감소퇴행성 디스크, 척추관 협착증(초기)
노년기 (60대 이상)심화된 퇴행, 골다공증, 전신 질환척추관 협착증, 압박 골절, 척추 종양

이처럼 나이라는 단서는 요통 원인 감별의 중요한 길잡이가 되어, 의사가 보다 효율적으로 진단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확률 높은 가이드일 뿐, 모든 가능성은 열어두고 환자의 개별적인 증상과 상황에 맞춰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지금까지 살펴본 다양한 진단 도구(문진, 검사 등)들이 실제 임상에서 어떻게 종합적으로 활용되어 최종 진단에 이르는지, 그 과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1. Wheeler, S. G., Wipf, J. E., Staiger, T. O., et al. (2020). “Evaluation of low back pain in adults”. UpToDate.
  2. Micheli, L. J., & Wood, R. (1995). “Back pain in young athletes.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adults in causes and patterns”.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49(1), 15–18.
  3. 서울아산병원. “요통(Low back pain)”. 질환백과. Available from: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05
  4. 국가건강정보포털. “노인 요통 관리”. 건강정보. Available from: https://www.ekjcg.org/journal/download_pdf.php?doi=10.15656/kjcg.2016.17.2.51 (내용 기반으로 의학적 사실 재구성)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