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인은 다른 곳에 있다: 내장기성 연관통 (Visceral Referred Pain)
지금까지 우리는 척추 자체의 구조적, 전신적 문제로 인한 요통을 살펴보았습니다. 하지만 수사망을 더 넓혀보면, 통증의 진원지가 전혀 예상치 못한 곳에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바로 우리 복부나 골반 깊숙이 위치한 ‘내부 장기’입니다. 허리를 아무리 치료해도 낫지 않던 통증의 범인이, 사실은 신장이나 췌장, 심지어는 대동맥의 문제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내장기성 연관통(Visceral Referred Pain)’의 개념이며, 요통 원인 감별 과정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함정입니다.1
왜 다른 곳이 아픈데 허리가 아플까? 연관통의 원리
연관통은 우리 몸의 ‘신경 배선’ 문제 때문에 발생합니다. 특정 내부 장기에서 발생한 통증 신호가 뇌로 전달될 때, 같은 척수 분절에서 신호를 받아들이는 피부나 근육의 통증으로 뇌가 착각하는 현상입니다.2 즉, 실제 아픈 곳은 내부 장기인데, 그 장기와 신경 뿌리를 공유하는 등이나 허리 부위가 아프다고 느끼는 것입니다. 연관통의 가장 큰 특징은 허리의 움직임이나 자세와 상관없이 통증이 발생하며, 통증 부위를 아무리 눌러봐도 뚜렷한 압통점이 없다는 점입니다. 또한, 해당 장기의 문제로 인한 다른 증상(소화불량, 혈뇨, 발열 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요통 원인 감별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요통을 유발할 수 있는 대표적인 내부 장기 질환
다음은 허리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대표적인 내장기성 질환들입니다. 이러한 질환들은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므로, 그 특징을 알아두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신장 질환 (신우신염, 요로결석): 옆구리에서 시작해 등 쪽으로 뻗치는 극심하고 칼로 찌르는 듯한 통증(산통)이 특징입니다. 혈뇨, 발열, 오한, 배뇨통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췌장 질환 (췌장염): 명치나 상복부에서 시작해 등 쪽으로 관통하는 듯한 깊고 심한 통증을 유발합니다. 누우면 악화되고, 허리를 앞으로 숙이면 완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소화불량, 구토를 동반합니다.
- 대혈관 질환 (복부 대동맥류, 대동맥 박리): ‘몸 안의 시한폭탄’이라 불리는 매우 위험한 질환입니다. 등이 찢어지는 듯한 극심하고 갑작스러운 통증이 특징이며, 혈압 저하, 의식 소실 등을 동반할 수 있는 응급 상황입니다.
- 부인과 질환 (자궁내막증, 골반염, 난소 낭종): 주로 아랫배와 엉치뼈 주변에 묵직하고 뻐근한 통증을 유발합니다. 월경 주기와 관련하여 통증이 변하거나, 비정상적인 출혈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의심 장기 | 통증의 특징 | 동반될 수 있는 주요 증상 |
---|---|---|
신장/요관 | 옆구리에서 등으로 뻗치는 칼로 찌르는 듯한 통증 | 혈뇨, 발열, 배뇨통, 구토 |
췌장 | 상복부에서 등으로 관통하는 지속적인 통증 | 소화불량, 구토, 황달, 체중 감소 |
대동맥 | 등이나 가슴이 찢어지는 듯한 갑작스러운 격통 | 복부 박동감, 혈압 저하 (응급 상황) |
자궁/난소 | 아랫배, 엉치 부위의 묵직하고 뻐근한 통증 | 월경 이상, 비정상 출혈, 분비물 증가 |
이처럼 허리 통증은 척추의 문제뿐만 아니라 다양한 내부 장기가 보내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허리 움직임과 상관없는 통증이 다른 전신 증상과 함께 나타난다면, 반드시 내과적 문제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종합적인 요통 원인 감별을 받아야 합니다.3 이는 정확한 진단뿐만 아니라, 때로는 생명을 구하는 결정적인 과정이 될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환자의 나이라는 중요한 단서를 통해, 연령대별로 주로 의심해 보아야 할 요통의 원인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 Sikandar, S., & Dickenson, A. H. (2012). “Visceral pain: the ins and outs, the ups and downs”. Current opinion in supportive and palliative care, 6(1), 17–26.
- Foreman, R. D. (1996). “Viscerosomatic convergence”. The Journal of the American Osteopathic Association, 96(9), 533-534.
-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대동맥박리”. 의료정보. Available from: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