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 신호(Red Flags)’를 찾아라: 응급 상황을 알리는 경고등
대부분의 허리 통증은 시간이 지나거나 간단한 치료로 호전되는 ‘착한 통증’입니다. 하지만 일부 요통은 우리 몸이 보내는 심각한 질병의 ‘경고등’일 수 있습니다. 의학계에서는 이러한 경고 신호를 ‘위험 신호(Red Flags)’라고 부릅니다.1 이 신호들은 단순한 기계적 요통이 아닌, 이전 글에서 다룬 종양, 감염, 심각한 신경 손상 등의 가능성을 시사하므로, 정확한 요통 원인 감별을 위해 절대 무시해서는 안 됩니다.
만약 당신의 허리 통증이 아래에 해당하는 위험 신호와 함께 나타난다면, 이는 파스를 붙이거나 휴식을 취하며 지켜볼 상황이 아닙니다. 자가 진단을 즉시 멈추고 전문가를 찾아 정밀한 진단을 받고 요통 원인 감별을 해야만,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막을 수 있습니다.2 이번 글에서는 반드시 기억해야 할 요통의 주요 위험 신호들을 총정리해 보겠습니다.
내 요통이 위험하다는 증거: Red Flags 체크리스트
다음은 즉각적인 의학적 평가가 필요한 요통의 대표적인 위험 신호들입니다.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주저하지 말고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 설명할 수 없는 체중 감소: 특별한 다이어트 없이 최근 몇 달간 체중이 5% 이상 감소했다면, 이는 척추 종양이나 다른 전신 질환의 가능성을 암시하는 매우 중요한 신호입니다.
- 50세 이후에 처음 시작된 심한 요통: 50세 이전에 요통 경험이 전혀 없다가 갑자기 심한 통증이 시작되었다면, 단순 퇴행성 질환 외에 척추 압박 골절이나 종양 등을 반드시 감별해야 합니다.
- 쉬어도 나아지지 않고 밤에 더 심해지는 통증 (야간통): 움직일 때만 아픈 기계적 요통과 달리, 자세와 상관없이 통증이 지속되고 특히 밤에 누웠을 때 통증이 더 심해져 잠을 깬다면, 척추 종양이나 감염을 강력히 의심해야 합니다.3
- 발열, 오한, 식은땀 등 전신 증상 동반: 요통과 함께 38도 이상의 고열이나 오한, 전신 무력감이 동반된다면, 이는 세균이 척추에 침투한 ‘척추 감염’의 증상일 수 있습니다.
- 암(Cancer) 병력: 과거에 유방암, 폐암, 전립선암 등 다른 암을 진단받은 적이 있다면, 새로운 요통은 암세포가 척추로 전이되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정밀한 요통 원인 감별이 필요합니다.
즉각적인 응급실 방문이 필요한 절대적 위험 신호
위의 신호들도 중요하지만, 아래에 해당하는 증상은 척수 신경 말단이 손상되는 ‘마미총 증후군(Cauda Equina Syndrome)’을 시사하는 응급 상황입니다. 영구적인 장애를 막기 위해 자세한 요통 원인 감별은 미루어두고 즉시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4
위험 신호 (Red Flag) | 의심할 수 있는 심각한 질환 |
---|---|
원인 불명의 체중 감소, 암 병력, 야간통 | 척추 종양 (전이성 암) |
발열, 오한, 심한 압통 | 척추 감염 (척추염) |
넘어지거나 다친 후 발생한 심한 통증 | 척추 골절 |
대소변 조절 장애 (소변을 못 보거나 지리는 증상) | 마미총 증후군 (응급 수술 필요) |
항문 주위나 회음부 감각 마비 (남의 살 같은 느낌) |
요통은 매우 흔한 증상이지만, 모든 요통이 ‘흔한 병’은 아닙니다. 나의 통증이 단순 근육통인지, 아니면 우리 몸이 보내는 심각한 경고인지를 구분하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위에 언급된 위험 신호가 하나라도 있다면, 더 이상 망설이지 마십시오. 정확한 요통 원인 감별만이 최악의 상황을 막는 유일한 길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통증의 범인이 허리가 아닌 전혀 다른 내부 장기일 수 있는 경우, ‘연관통’에 대해 알아보며 감별 진단의 범위를 더욱 넓혀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 Downie, A., Williams, C. M., Henschke, N., et al. (2013). “Red flags to screen for malignancy in patients with low-back pain”.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 CD008686.
-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허리가 아프면 허리디스크인가요?”. 건강정보. 2024. Available from: https://www.schmc.ac.kr/seoul/selectBbsNttView.do?key=358&bbsNo=221&nttNo=273651
- 국가건강정보포털. “요통”. 건강정보. Available from: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3796
- Fraser, S., Roberts, L., & Murphy, E. (2009). “Cauda equina syndrome: a literature review of its definition and clinical presenta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0(11), 1964–19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