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통 Macnab> 13. 요통 정밀검사, 통증의 진짜 범인을 찾는 과학적 수사 과정 (X-ray, MRI, 근전도 검사 총정리)

통증의 원인 부위를 찾는 ‘진단적 신경차단술’

“MRI에는 디스크가 눌려 있다는데, 진짜 통증의 범인은 그 신경이 맞을까?” 이런 고민이 생길 때, 요통 정밀검사의 마지막 퍼즐 조각을 맞출 수 있는 방법이 바로 ‘진단적 신경차단술’입니다. 신경차단술은 치료 목적으로 더 널리 알려져 있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통증의 정확한 원인 부위를 찾아내는 유력한 진단 도구로도 활용됩니다.1

진단 원리: ‘원인 신경’에 주사, 통증이 사라지면 바로 그곳

진단적 신경차단술은 의심되는 신경이나 신경 주위(예: 추간공, 후지 내측지 등)에 국소마취제(때로는 소량의 스테로이드 포함)를 정확히 주사해 신경의 통증 신호 전달을 일시적으로 차단합니다.2

주사 이후 통증이 극적으로 완화되면, 주사한 신경 부위가 실제로 증상의 주범임을 의학적으로 역증명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아무런 변화가 없다면 다른 부위를 의심해야 하며, 이런 과정을 반복해 진짜 원인을 점점 좁혀나갈 수 있습니다. 즉, 환자의 통증 지도를 그려나가는 과학적 실험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두 마리 토끼를 잡다

진단적 신경차단술은 단순히 통증의 근원 규명에만 그치지 않습니다. 주입된 약물이 염증과 부종을 가라앉혀 통증 자체를 효과적으로 완화시켜주는 치료 효과까지 동시에 누릴 수 있습니다.3 MRI, CT에서도 모호했던 통증의 범위와 본질을 명확하게 밝혀낼 수 있고, 환자 개개인에 맞춘 비수술적 치료 전략을 최적화하는 데 귀중한 근거가 되는 요통 정밀검사입니다.

구분주요 목적임상적 의미
진단 목적국소마취제 주사 후 통증 소실 여부 확인통증의 원인 신경 ‘확진’, 치료 방향 결정
치료 목적염증·부종 감소, 통증 신호 차단단기적이지만 강력한 통증 완화 효과

정확한 진단이 최적의 치료로 이어지듯, 진단적 신경차단술은 원인 규명과 치료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요통 정밀검사의 ‘마지막 확증 실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술 전 반드시 시행하는 임상적 실험으로, 실제 치료 효과를 미리 경험해볼 수 있다는 점도 큰 장점입니다.4

다음 글에서는 영상 검사와 신경 기능 검사의 결과가 실제 증상과 다르게 나타나는 진단의 허와 실, 그리고 최종 진단을 내릴 때 고려해야 할 임상적 함정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1. 정안의료재단 중앙병원. “척추신경통증시술 – 진단적 신경차단술 소개”. Available from: https://www.ulsanjoongang.co.kr/content/04diagnosis/03_06.php
  2. 브런치. “신경 주사 치료란? 신경차단술의 원리와 효과 총정리”. 2025. Available from: https://brunch.co.kr/@@cIM2/561
  3. 달리자병원. “추간공 및 경막외 신경차단술”. 시술정보. Available from: http://www.dalrija.com/sub/r40/s40101010.php
  4. 화곡역 서울제일신경외과의원. “신경차단술 – 비수술치료”. Available from: https://endospine.co.kr/theme/seoulbest/sub/seoulbest_2010.php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