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통 Macnab> 13. 요통 정밀검사, 통증의 진짜 범인을 찾는 과학적 수사 과정 (X-ray, MRI, 근전도 검사 총정리)

신경의 기능적 손상을 확인하는 ‘근전도/신경전도 검사(EMG/NCS)’

“MRI 상으로 신경이 눌려 있다고 하는데, 실제로 신경 기능에는 얼마나 손상이 왔을까?” 요통 정밀검사의 여정에서 많은 의료진과 환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대목입니다. 영상 소견으로 구조적 이상 유무는 쉽게 밝혀낼 수 있지만, 실제 신경 기능이 얼마만큼 저하되어 있는지는 MRI만으로는 판단이 쉽지 않습니다. 이럴 때 꼭 필요한 추가 검사가 바로 근전도(EMG)·신경전도검사(NCS)입니다.1

검사 원리: 전기로 신경과 근육의 실질적 건강을 측정한다

EMG와 NCS는 신경과 근육이 정상적으로 전기 신호를 전달하고 수축하는지 명확하게 평가하는 요통 정밀검사입니다. 신경전도검사(NCS)는 피부에 전극을 부착하고 피부 표면을 자극하여 전기 신호가 신경을 따라 얼마나 빠르고 강하게 전달되는지 측정합니다. 이때 신호 전달 속도가 느려지거나 차단된다면 신경에 물리적 압박이나 손상이 있음을 의미합니다.2

근전도검사(EMG)는 보통 미세한 바늘 전극을 여러 근육에 직접 삽입해 근육의 전기적 활동을 실시간으로 기록합니다. 신경이 손상됐을 때 근육이 제대로 수축하지 못하거나, 비정상적인 전기 신호(자발전위)가 나타나는지를 판단하여 신경 손상의 위치와 범위를 상세히 추적할 수 있습니다.3

기능 손상과 구조 손상의 불일치: EMG/NCS의 임상적 의의

MRI 등 영상검사에서 신경이 눌려 보이더라도, 실제 임상적으로는 신경 기능이 정상인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반대로 MRI 소견은 미미해도 심각한 신경 손상, 근력 저하, 근육 위축이 진행 중인 사례도 존재합니다.4 요통 정밀검사의 보조 역할인 EMG/NCS는 이렇게 구조와 기능의 ‘불일치’ 상황에서 진단의 정확도를 한 단계 올려주는 결정적인 근거가 됩니다.

구분MRI (자기공명영상)EMG/NCS (근전도/신경전도 검사)
주요 역할구조적 이상(압박, 협착) 확인기능적 손상(신경·근육 신호 전달 저하) 확인
장점연부 조직 형태를 선명하게 보여줌신경 손상 위치, 손상 정도 파악에 효과적
단점기능적(실제) 손상은 확인 불가침습적(바늘 전극), 일부 피부 감각 반응 불편

결론적으로 MRI가 구조상의 힌트를 제공한다면, EMG/NCS는 실제 임상 증상과 신경 기능 장애를 객관적으로 수치화해 주는 결정적 요통 정밀검사입니다. 수술 여부, 예후 평가, 회복 가능성 등 환자 맞춤 치료 전략을 세우는 데 필수적인 근거가 됩니다.

다음 글에서는 증상과 영상을 종합해 요통의 원인을 확정할 수 있는 또 다른 요통 정밀검사의 진단적 기법, 신경차단술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1. 삼성스마트신경과의원. “신경전도검사 [NCS]의학칼럼”. Available from: https://smartneuro.co.kr/article/%EC%9D%98%ED%95%99%EC%B9%BC%EB%9F%BC/5/39/
  2. 근전도 및 신경전도 검사. 나무위키. Available from: https://namu.wiki/w/%EA%B7%BC%EC%A0%84%EB%8F%84%20%EB%B0%8F%20%EC%8B%A0%EA%B2%BD%EC%A0%84%EB%8F%84%20%EA%B2%80%EC%82%AC
  3. 서울아산병원. “근전도 검사(Electromyography)”. 검사/시술/수술 정보. 2016. Available from: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34
  4. 시애틀 척추전문병원. “근전도 및 신경전도 검사를 통한 부상 진단”. 2025. Available from: https://seattlespine.com/ko/treatments/injury-diagnosis-with-emg-nerve-conduction-studies/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