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ay vs CT vs MRI: 한눈에 보는 핵심 차이 비교
허리나 목에 통증이 있을 때, 어떤 검사를 받아야 할지 고민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요통 정밀검사에서 가장 많이 선택되는 영상 검사인 X-ray, CT, MRI는 각기 다른 원리와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세 가지 검사는 검사 방식, 관찰 대상, 장단점, 비용과 검사 시간까지 모두 다르기 때문에 내 증상과 상황에 따른 맞춤 선택이 중요합니다.1
아래의 표는 척추 질환 진단에서 가장 혼동되는 X-ray, CT, MRI 세 검사의 핵심 특징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정리한 것입니다.
구분 | X-ray | CT | MRI |
---|---|---|---|
검사 원리 | 방사선을 한 방향에서 투과 | 방사선을 360도 회전, 단면 영상 재구성 | 강한 자기장과 고주파로 연부 조직 신호 포착 |
주요 관찰 대상 | 뼈의 외형, 정렬, 골절 | 뼈의 미세 구조, 골절, 척추관 단면, 석회화 병변 | 디스크, 신경, 인대, 근육 등 연부 조직 |
장점 | 빠르고 저렴, 기본 구조 파악 | 뼈 관련 질환 정밀 진단, 3D 분석 | 연부 조직 판별, 반복 검사 가능, 고해상도 |
단점 | 디스크·신경 등 연부 조직 확인 불가 | 방사선 노출, 연부 조직 표현 제한 | 검사 시간·비용↑, 금속 삽입 시 제한 |
평균 비용 | 저렴 (만원대) | 중간 (수십만원대) | 비싸다 (십만원~수십만원대) |
검사 소요 시간 | 수 분 이내 | 수 분~수십 분 | 20분~1시간 |
이처럼 요통 정밀검사는 각 영상 검사마다 역할과 강점이 다릅니다. 의사는 환자의 증상, 진단 목적, 상황에 따라 가장 적합한 검사를 선택하게 됩니다. 뼈의 구조적 문제는 X-ray와 CT, 통증의 원인이나 신경병변은 MRI를 이용해야 확실한 답을 얻을 수 있음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2
다음 글에서는 MRI에서 신경 압박이 보여도 실제 증상은 전혀 다를 수 있다는 현실적인 진단의 함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 참바른병원. “척추질환 대표 검사(X-Ray,CT,MRI) 차이점 비교”. 건강정보. Available from: http://chambarun.kr/63/?bmode=view&idx=12412336
- 바른신경외과. “척추 진단, MRI·CT·X-ray 뭐가 다를까?”. 브런치. 2025. Available from: https://brunch.co.kr/@@cIM2/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