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통 Macnab> 13. 요통 정밀검사, 통증의 진짜 범인을 찾는 과학적 수사 과정 (X-ray, MRI, 근전도 검사 총정리)

뼈를 더 자세히, 3차원으로: ‘CT 검사’의 역할

X-ray 검사를 통해 척추의 전체적인 뼈대(구조)에 이상이 없는 것을 확인했다면, 다음 단계의 요통 정밀검사는 무엇일까요? 많은 분들이 바로 MRI를 떠올리지만, 그 사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또 다른 검사가 있습니다. 바로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즉 CT 검사입니다. CT는 X-ray와 MRI의 중간 지점에서, 특히 ‘뼈’에 관한 한 그 어떤 검사보다 상세하고 정밀한 정보를 제공하며 요통 진단에 중요한 단서를 더해줍니다.1 이번 글에서는 CT 검사가 X-ray와 어떻게 다르며, 어떤 특정 상황에서 MRI보다 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CT의 원리: X-ray를 겹겹이 쌓아 만드는 3차원 단면도

CT 검사의 기본 원리는 X-ray와 같습니다. 즉, X선을 이용하여 인체 내부를 촬영합니다. 하지만 결정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X-ray가 단순히 한 방향에서 엑스선을 쏘아 2차원적인 그림자 이미지를 얻는 것이라면, CT는 X선 발생 장치가 환자의 몸 주위를 360도 빠르게 회전하면서 수많은 각도에서 X선 데이터를 수집합니다.2 그리고 컴퓨터가 이 방대한 데이터를 정교하게 재구성하여 우리 몸의 단면을 마치 얇게 썰어놓은 것처럼 보여주는 3차원 영상을 만들어냅니다.

이 덕분에 CT는 뼈와 다른 조직들이 겹쳐 보여 구분이 어려운 X-ray의 한계를 극복하고, 뼈의 미세한 구조까지 매우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요통 정밀검사 과정에서 CT는 뼈에 대한 현미경과도 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CT가 빛을 발하는 순간: 뼈 문제 진단의 스페셜리스트

디스크나 신경 같은 연부 조직을 보는 데는 MRI가 탁월하지만, 다음과 같은 특정 상황에서는 CT가 MRI보다 더 정확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3

  • 미세 골절의 발견: X-ray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척추뼈의 미세한 골절이나 실금을 찾아내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특히 교통사고나 낙상 등 외상 후 통증이 있을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석회화 병변의 감별: 황색인대 골화증(인대가 뼈처럼 딱딱하게 굳는 병)이나 디스크 석회화처럼, 병변이 돌처럼 딱딱하게 굳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MRI보다 우수합니다. 이는 수술 계획을 세울 때 매우 중요한 정보가 됩니다.
  • 척추관의 단면적 평가: 척추관이 얼마나 좁아졌는지 그 단면을 직접적으로 보여주어 척추관 협착증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수술 전후 평가: 척추 유합술 시 나사못이 정확한 위치에 잘 삽입되었는지, 뼈 이식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등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는 요통 정밀검사입니다.
구분CT (컴퓨터 단층촬영)MRI (자기공명영상)
주요 관찰 대상뼈, 석회화된 조직연부 조직 (디스크, 신경, 인대)
장점검사 시간이 짧고, 미세 골절/석회화 진단에 탁월함방사선 노출이 없고, 디스크/신경 상태 확인에 최적
단점방사선 노출이 있고, 연부 조직 대조도가 낮음검사 시간이 길고, 비용이 비싸며, 뼈의 세밀한 평가는 어려움

결론적으로 CT는 요통 정밀검사 과정에서 모든 환자에게 필수적인 검사는 아닙니다. 하지만 뼈의 문제가 강력하게 의심되거나, 수술을 계획하는 등 특정 상황에서는 MRI가 제공하지 못하는 결정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매우 중요한 ‘스페셜리스트’ 역할을 수행합니다. 의사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CT와 MRI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검사를 선택하게 됩니다.4

이제 요통 정밀검사의 최종 목적지, 통증의 진짜 범인인 디스크와 신경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MRI 검사에 대해 알아볼 차례입니다. 다음 글에서 그 자세한 이야기를 이어가겠습니다.

참고 자료

  1. 서울대학교병원. “전산화 단층촬영 [computed tomography]”. 검사/수술 정보. 2019. Available from: https://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TEST&medid=BA000004
  2. 삼성서울병원. “컴퓨터 단층 촬영검사 (CT) 소개”. 검사정보. Available from: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edical/checkupSub01View.do?ds_code=D0003873
  3. 바른신경외과. “척추 진단, MRI·CT·X-ray 뭐가 다를까?”. 브런치. 2025. Available from: https://brunch.co.kr/@@cIM2/564
  4. 서울아산병원. “요통(Low back pain)”. 질환백과. Available from: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05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