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통 Macnab> 13. 요통 정밀검사, 통증의 진짜 범인을 찾는 과학적 수사 과정 (X-ray, MRI, 근전도 검사 총정리)
프롤로그: 통증의 진짜 범인을 찾는 과학적 수사 과정
지긋지긋한 허리 통증, 그 원인을 찾기 위한 여정은 마치 한 편의 정교한 과학 수사 과정과도 같습니다. 단순히 아픈 곳을 주무르거나 찜질하는 것은 임시방편일 뿐, 사건의 진실에 다가갈 수 없습니다. 현대 의학은 환자의 몸이 보내는 작은 신호들(증상)을 단서로 삼아, 다양한 과학적 검증(검사)을 통해 통증의 진짜 범인을 찾아냅니다. 이 과정은 결코 하나의 검사만으로 끝나지 않으며, 환자의 이야기에서부터 시작하여 최첨단 영상 장비에 이르기까지, 여러 단계의 요통 정밀검사를 거쳐 비로소 완성됩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요통 Macnab』 시리즈를 통해 디스크 파열, 척추관 협착증 등 요통을 유발하는 다양한 용의자들의 특징을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이제부터는 이 용의자들 중에서 진짜 범인을 가려내는 ‘수사 기법’, 즉 요통 진단을 위한 다양한 검사 방법에 대해 알아볼 차례입니다.1 요통 정밀검사는 왜 필요하며, 각각의 검사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우리에게 무엇을 알려주는 걸까요? 그 흥미로운 수사 과정을 함께 따라가 보겠습니다.
수사의 첫걸음: 피해자의 증언, 병력 청취
모든 수사가 피해자의 증언에서 시작되듯, 요통 진단의 첫걸음 역시 환자의 ‘이야기’를 듣는 것, 즉 병력 청취에서 시작됩니다.2 환자가 언제부터, 어디가, 어떻게 아픈지, 어떤 자세에서 편하고 불편한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증언은 그 어떤 첨단 장비보다 중요한 첫 번째 단서를 제공합니다. 의사는 이 증언을 통해 용의선상에 있는 질환들의 범위를 좁혀나갑니다.
- “허리를 숙일 때 찌릿해요” → 디스크 파열 가능성 상승
- “걷다 보면 다리가 터질 것 같아 쉬어야 해요” → 척추관 협착증 가능성 상승
- “아침에 일어나면 허리가 뻣뻣해요” → 염증성 척추 질환 가능성 상승
이처럼 환자의 증언은 수사의 방향을 결정하는 나침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자신의 증상을 최대한 자세하고 정확하게 의사에게 전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현장 감식: 신체 검진을 통한 증거 수집
증언을 확보했다면, 다음은 사건 현장을 직접 살펴보는 ‘현장 감식’, 즉 신체 검진 차례입니다. 의사는 환자의 허리를 만져보고, 움직여보며, 다리를 들어 올려 보는(SLR 테스트) 등의 다양한 검사를 통해 객관적인 증거를 수집합니다. 감각이 둔해진 부위는 없는지, 특정 근육의 힘이 약해지지는 않았는지, 반사 기능은 정상인지 등을 꼼꼼히 확인하며, 환자의 증언을 뒷받침할 물리적인 증거를 찾아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요통 정밀검사의 필요성과 방향이 결정됩니다.
수사 단계 | 의학적 진단 과정 | 핵심 목표 |
---|---|---|
1단계: 증언 확보 | 병력 청취 (문진) |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 패턴 파악 |
2단계: 현장 감식 | 신체 검진 (이학적 검사) | 객관적인 신경학적 징후 확인 |
3단계: 물증 확보 | 요통 정밀검사 (영상, 기능 검사) | 통증의 해부학적, 기능적 원인 확증 |
이처럼 요통의 진단은 단편적인 정보로 성급하게 결론 내리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증상에서 시작하여 신체 검진, 그리고 정밀 검사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는 논리적인 과정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이 수사 과정의 3단계, 즉 다양한 요통 정밀검사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각각의 검사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본격적으로 파헤쳐 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 서울아산병원. “요통(Low back pain)”. 질환백과. Available from: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05
- 서울대학교병원. “[우리집주치의] 요통 원인과 치료방법”. N 의학정보. Available from: https://www.snuh.org/health/myDoctor/view.do?seq_no=6 (내용 기반으로 의학적 사실 재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