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통 Macnab> 11. 디스크 신경자극, 허리 통증이 다리까지 뻗치는 진짜 이유

의사의 진단 단서: ‘하지 직거상 검사’가 알려주는 것들

허리와 다리 통증으로 병원을 찾았을 때, MRI와 같은 복잡한 영상 검사에 앞서 의사가 침대에 누운 환자의 다리를 조심스럽게 들어 올려 보는 장면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간단해 보이는 이 동작이 바로 ‘디스크 신경자극’을 진단하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이학적 검사, ‘하지 직거상 검사(Straight Leg Raise Test, SLR Test)’입니다. 첨단 장비 없이도 신경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게 해주는 이 고전적인 검사는 어떻게 ‘디스크 신경자극’의 여부를 가려내는 강력한 단서가 되는 걸까요? 그리고 이를 함부로 따라 해서는 안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신경을 ‘잡아당겨보는’ 검사, 하지 직거상 검사의 원리

하지 직거상 검사의 원리는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바로 좌골신경에 의도적으로 ‘긴장(tension)’을 주어 숨어 있는 신경 압박 문제를 드러나게 하는 것입니다.1 천장을 보고 똑바로 누운 상태에서 무릎을 편 채 다리를 서서히 들어 올리면, 엉덩이부터 발끝까지 이어지는 좌골신경과 그 뿌리가 되는 요추 신경근(주로 4번, 5번 요추 및 1번 천추 신경근)이 팽팽하게 당겨지게 됩니다.2

만약 아무런 문제가 없는 건강한 상태라면, 다리를 70도 이상 들어 올려도 허벅지 뒤쪽(햄스트링)이 약간 당기는 느낌 외에는 별다른 통증이 없습니다. 하지만 탈출한 디스크가 신경근을 누르거나 염증을 일으키고 있는 상태, 즉 ‘디스크 신경자극’이 있는 상태라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이미 예민해져 있는 신경이 이 검사로 인해 추가적으로 당겨지면서 압박과 자극이 극대화되고, 환자가 평소에 느끼던 극심한 방사통(좌골신경통)이 그대로 재현됩니다. 이것이 바로 ‘양성 반응’이며, ‘디스크 신경자극’이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강력한 증거가 됩니다.

통증이 나타나는 ‘각도’에 숨겨진 의미

이 검사의 핵심은 단순히 통증의 유무가 아니라, 통증이 어느 각도에서 나타나는가에 있습니다. 의사는 이 각도를 통해 통증의 원인을 보다 정밀하게 추측할 수 있습니다.3

검사 각도나타나는 통증과 의심 질환
0° ~ 35°이 구간에서는 아직 좌골신경이 거의 긴장되지 않습니다. 만약 이른 각도에서 통증이 나타난다면, 척추 분리증, 종양, 천장관절 문제 등 디스크 외의 심각한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35° ~ 70° (양성 구간)좌골신경과 신경근이 가장 팽팽하게 긴장되는 핵심 구간입니다. 이 각도에서 허리, 엉덩이를 지나 다리로 뻗치는 방사통이 재현된다면, 디스크 신경자극을 매우 강력하게 시사하는 전형적인 양성 소견입니다.
70° 이상신경근의 긴장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구간입니다. 이때 나타나는 통증은 디스크 문제보다는 햄스트링 근육의 단축이나 척추 후관절, 천장관절 등 관절 자체의 기계적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4

절대 금물! 자가 진단의 위험성

인터넷이나 방송을 통해 하지 직거상 검사를 접하고, “나도 허리디스크인가?” 하는 마음에 집에서 직접 다리를 들어 올려 보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이는 매우 위험할 수 있는 행동입니다. 이 검사는 통증을 ‘유발’시켜 진단하는 검사법(provocative test)이므로, 불필요하게 반복할 경우 이미 염증으로 예민해진 신경을 더욱 자극하여 손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5

또한, 일반인은 허벅지 뒤쪽 근육이 당기는 단순한 근육통과, 신경이 눌려 발생하는 날카로운 방사통을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잘못된 자가진단은 불필요한 불안감을 낳거나, 반대로 심각한 문제를 놓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검사는 반드시 전문가인 의사의 정확한 방법과 해석하에 시행되어야 합니다. 하지 직거상 검사는 ‘디스크 신경자극’을 예측하는 유용한 도구이지만, 결코 스스로를 진단하고 평가하는 도구가 아님을 명심해야 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이러한 신체 검진을 통해 ‘디스크 신경자극’이 강력히 의심될 때, 눈으로 직접 신경 압박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하는 MRI 검사가 왜 필요한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1.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추간판탈출증(디스크)”. 건강정보. Available from: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3348
  2. Devillé, W. L., van der Windt, D. A., Dzaferagić, A., Bezemer, P. D., & Bouter, L. M. (2000). “The test of Lasègue: systematic review of the accuracy in diagnosing herniated discs”. Spine, 25(9), 1140–1147. (내용 기반으로 의학적 사실 재구성)
  3. Heeled Healer. “허리디스크 : 신체 검사 (SLR test, 하지 감각/운동 검사)”. 2023. Available from: https://healedhealer.tistory.com/entry/허리디스크-신체-검사-SLR-test-하지-감각운동-검사
  4. Physiotutors. “SLR Sizer | 신경역학 감별 진단”. Available from: https://www.physiotutors.com/ko/wiki/slr-sizer/
  5. 모커리한방병원. “허리디스크자가진단, SLR 테스트(하지직거상 검사)”. 2016. Available from: https://taclinic.mokhuri.com/m/02_vertebra/vertebra02_80.php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