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통 Macnab> 11. 디스크 신경자극, 허리 통증이 다리까지 뻗치는 진짜 이유

방사통 외에 놓치지 말아야 할 ‘디스크 신경자극’의 경고 신호들

앞선 글에서 우리는 ‘디스크 신경자극’이 만들어내는 가장 대표적인 증상인 방사통, 즉 좌골신경통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찌릿하게 뻗어 나가는 통증은 분명 괴롭고 명확한 신호입니다. 하지만 신경이 보내는 위험 신호는 통증뿐만이 아닙니다. 오히려 통증보다 더 심각한 신경 손상을 암시하는 다른 증상들이 동반될 수 있으며, 이를 놓치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방사통과 함께 나타날 수 있는 주요 신경학적 증상, 즉 감각 이상, 근력 약화, 그리고 반사 기능 저하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루어 보겠습니다. 이들은 ‘디스크 신경자극’의 심각도를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입니다.

신호 1: 남의 살 같은 느낌, 감각 이상 (Paresthesia)

“다리에 벌레가 기어가는 것 같아요.”, “발바닥에 두꺼운 종이를 덧댄 것처럼 감각이 둔해요.”, “허벅지가 시리고 화끈거려요.” 이처럼 실제 외부 자극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상한 감각을 느끼는 것을 ‘감각 이상’이라고 합니다. 이는 ‘디스크 신경자극’에 의해 감각 신경의 정보 전달 체계에 혼선이 생기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1 신경이 눌리거나 염증으로 인해 과민해지면서 뇌에 잘못된 신호를 보내는 것입니다.

다양한 감각 이상의 양상

  • 저림 또는 찌릿함 (Tingling): 가장 흔한 형태로, 팔다리가 저릴 때와 비슷한 느낌이지만 강도와 지속성 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 무감각 또는 감각 둔화 (Numbness): 특정 부위의 감각이 둔해져 만져도 느낌이 덜하거나, 마치 남의 살처럼 느껴집니다.
  • 이상 감각 (Dysesthesia): 스치기만 해도 아프거나(이질통), 차가운 것을 뜨겁게 느끼는 등 자극을 왜곡하여 받아들입니다. 화끈거리거나 시린 느낌도 여기에 포함됩니다.2

이러한 감각 이상은 방사통과 함께 특정 신경 지배 영역(피부분절)을 따라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디스크 신경자극’이 어느 부위에서 발생했는지 추정할 수 있는 중요한 지도 역할을 합니다.

신호 2: 다리에 힘이 빠진다, 근력 약화 (Motor Weakness)

감각 이상보다 더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할 위험 신호는 바로 ‘근력 약화’입니다. 이는 ‘디스크 신경자극’이 감각 신경을 넘어 운동 신경까지 심각하게 침범했음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3 신경의 명령이 근육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힘을 줄 수 없게 되는 것입니다. 환자들은 “발목에 힘이 풀려 자꾸 발을 헛디딘다”거나 “계단을 오르기 힘들다”고 호소합니다.

특히 주의해야 할 ‘족하수(Foot Drop)’

근력 약화의 가장 대표적이고 응급을 요하는 증상 중 하나가 바로 ‘족하수(Foot drop)’입니다. 이는 발목과 발가락을 위로 들어 올리는 근육이 마비되어 발 앞부분이 아래로 뚝 떨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4

  • 증상: 걸을 때 발 앞부분이 바닥에 끌리게 되므로, 이를 피하기 위해 마치 문지방을 넘듯 무릎을 과도하게 높이 들어 올리는 특징적인 보행(계상보행)을 보이게 됩니다.
  • 원인: 주로 4번과 5번 요추 사이의 디스크가 5번 요추 신경근을 심하게 압박할 때 발생합니다.

이 족하수는 신경 손상이 상당히 진행되었음을 시사하는 강력한 증거이며, 빠른 시간 내에 치료하지 않으면 영구적인 장애로 남을 수 있어 즉각적인 의학적 개입이 필요합니다.

신호 3: 의사의 망치에 반응이 없다, 반사 기능 저하 (Decreased Reflex)

병원에서 의사가 작은 망치로 무릎이나 발목을 쳐보는 검사를 받아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이를 ‘심부건반사(Deep Tendon Reflex)’ 검사라고 합니다. 이는 특정 자극에 대해 우리 몸이 무의식적으로 반응하는 신경 회로가 잘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객관적인 검사법입니다.5

‘디스크 신경자극’으로 인해 특정 신경근이 압박받으면 이 반사 회로에 문제가 생겨 반응이 약해지거나 아예 나타나지 않게 됩니다. 예를 들어, 무릎 반사는 주로 4번 요추 신경근의 기능을, 아킬레스건 반사는 1번 천추 신경근의 기능을 반영합니다. 따라서 특정 반사 기능의 저하는 어떤 신경이 어느 정도로 손상되었는지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경고 신호주요 증상임상적 의미 및 중요도
감각 이상저림, 무감각, 화끈거림, 시림 등감각 신경의 자극 또는 손상을 의미함. 흔하게 나타나지만, 범위가 넓어지거나 심해지면 주의 필요.
근력 약화발목/발가락 힘 빠짐, 보행 장애, 족하수(Foot drop)운동 신경의 심각한 손상을 의미. 영구 장애를 막기 위해 즉각적인 진료가 필요한 응급 신호.
반사 기능 저하무릎 반사, 아킬레스건 반사 등의 소실 또는 감소신경 회로의 중단을 의미하는 객관적인 징후. 의사의 진찰을 통해 확인 가능.

결론적으로 통증뿐만 아니라 위에서 언급한 감각의 변화나 힘 빠짐 증상이 동반된다면, 이는 단순한 통증을 넘어 신경계에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했다는 강력한 증거입니다. 이러한 신호들을 간과하지 말고 조기에 전문가의 진찰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의사가 이러한 증상들을 바탕으로 어떻게 ‘디스크 신경자극’을 진단해 나가는지, 그 구체적인 진찰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1. MSD 매뉴얼 일반인용. “뇌, 척수 및 신경 장애 증상 안내”. 뇌, 척수, 신경 장애. 2023. Available from: https://www.msdmanuals.com/ko/home/뇌-척수-신경-장애/뇌-척수-및-신경-장애-증상/뇌-척수-및-신경-장애-증상-안내
  2. 서울아산병원. “다발성 신경병증(Polyneuropathy)”. 질환백과. Available from: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87
  3.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말초신경병증”. N 의학정보. 2018. Available from: https://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medid=AA000769
  4. 위키백과. “족하수”. Available from: https://ko.wikipedia.org/wiki/족하수
  5. 삼성서울병원. “신경계 이상”. 질환백과. Available from: http://samsunghospital.com/dept/medical/diseaseSub03View.do?content_id=1178&DP_CODE=CIC&searchKey=F&est=F&ds_code=D0004352 (내용 기반으로 의학적 사실 재구성)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