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통 Macnab> 11. 디스크 신경자극, 허리 통증이 다리까지 뻗치는 진짜 이유

신경을 괴롭히는 두 가지 공격: 기계적 압박 vs 화학적 자극

지금까지 우리는 추간판 파열이 퇴행, 손상, 외상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한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그렇다면 파열된 디스크는 정확히 어떤 방식으로 신경을 공격하여 그토록 극심한 통증을 만들어내는 걸까요? 과거에는 단순히 밀려 나온 디스크 덩어리가 신경을 ‘누르기 때문에’ 아픈 것이라는 이해가 지배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연구가 발전하면서, 통증의 원인이 생각보다 훨씬 복잡하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바로 ‘디스크 신경자극’이 ‘기계적 압박’과 ‘화학적 자극’이라는 두 가지 치명적인 공격의 합작품이라는 것입니다. 이 두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디스크 통증의 본질을 꿰뚫는 핵심 열쇠입니다.

공격 1: 눈에 보이는 위협, 기계적 압박 (Mechanical Compression)

기계적 압박은 가장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통증의 원인입니다. 찢어진 섬유륜을 뚫고 탈출한 수핵 덩어리가 척추관 내의 신경근(nerve root)을 물리적으로 직접 누르는 현상을 말합니다.1 좁은 골목길에 갑자기 큰 바위가 굴러떨어져 길을 막고 사람들을 옴짝달싹 못하게 하는 모습과 같습니다.

신경은 매우 민감한 조직으로, 지속적인 압박에 취약합니다. 압박이 가해지면 다음과 같은 연쇄 반응이 일어납니다.

  • 허혈(Ischemia): 신경으로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하는 미세 혈관들이 눌리면서 혈액순환에 장애가 발생합니다.
  • 부종(Edema): 혈액순환 장애로 인해 신경 조직이 붓기 시작하며, 이는 다시 주변 압력을 높여 상황을 악화시킵니다.
  • 신호 전달 방해: 물리적 압박과 부종은 신경의 정상적인 전기 신호 전달을 방해하여 감각 이상(저림, 무감각)이나 근력 약화를 유발합니다.

결과적으로 이 기계적 압박이 바로 특정 자세에서 통증이 심해지거나, 다리에 힘이 빠지는 등의 신경학적 증상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됩니다. 이것이 ‘디스크 신경자극’의 가시적인 측면입니다.

공격 2: 보이지 않는 암살자, 화학적 자극 (Chemical Irritation)

하지만 MRI 사진에서 신경이 심하게 눌려 있지 않은데도 환자는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대로, 신경이 꽤 눌려 보여도 별다른 증상 없이 지내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 미스터리를 푸는 열쇠가 바로 ‘화학적 자극’입니다.2

과거에는 디스크의 수핵이 그저 수분을 머금은 중립적인 젤리 덩어리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연구 결과, 수핵은 우리 몸의 면역체계에 노출된 적이 없는 ‘치외법권’ 지역의 물질이며, 그 안에는 TNF-alpha, Interleukin-6와 같은 강력한 염증 유발 물질들이 고농도로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3 디스크가 파열되어 이 수핵이 척추관 내로 흘러나오는 순간, 마치 벌집을 건드린 것처럼 우리 몸의 면역체계는 이 낯선 물질에 대해 격렬한 공격을 시작합니다. 이 과정에서 신경근 주위에는 극심한 염증 반응, 즉 ‘화학적 신경염’이 발생합니다.

이 화학적 자극은 기계적 압박보다 더 교활하고 집요하게 통증을 유발합니다. 염증으로 인해 한껏 예민해진 신경은 아주 작은 움직임이나 압력에도 극도로 과민하게 반응하며, 가만히 쉬고 있는 상태에서도 타는 듯한 통증과 저림을 느끼게 만듭니다. 실제로 많은 전문가들은 ‘디스크 신경자극’으로 인한 통증의 상당 부분이 이 화학적 염증 때문이라고 보고 있습니다.4

구분기계적 압박화학적 자극
공격 방식탈출한 수핵이 신경을 물리적으로 누름수핵의 염증 물질이 신경 주위에 염증 반응을 유발
통증 양상움직일 때 악화되는 찌르는 듯한 통증, 근력 약화, 감각 둔화가만히 있어도 지속되는 타는 듯한 통증, 저림, 시림
MRI 소견과의 관계디스크 크기(압박 정도)와 증상이 비례하는 경향이 있음디스크 크기가 작아도 염증이 심하면 통증이 극심할 수 있음5
치료적 접근안정, 자세 교정, 감압 치료 등 압력을 줄이는 데 집중소염제 투여, 신경 차단술 등 염증을 조절하는 데 집중

결론적으로 ‘디스크 신경자극’은 이 두 가지 공격이 동시에, 혹은 번갈아 가며 신경을 괴롭히는 복합적인 현상입니다. 기계적 압박이 신경을 예민하게 만들면, 화학적 자극이 그 위에 기름을 붓는 격이 됩니다. 따라서 디스크 파열로 인한 통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압박을 줄여주는 것과 동시에, 신경 주위의 화학적 염증을 적극적으로 가라앉히는 치료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이러한 ‘디스크 신경자극’이 만들어내는 가장 대표적인 증상, ‘방사통’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1.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허리디스크란”. 질병정보. Available from: https://www.neurospine.or.kr/general/info/info.php?sub_num=2
  2. 강남세브란스병원. “요추간판탈출증(허리디스크)”. 질병정보. 2024. Available from: https://gs.severance.healthcare/health/encyclopedia/disease/body_board.do?mode=view&articleNo=67079
  3. Kim, D. H., & Murovic, J. A. (2009). “Pathophysiology of Discogenic and Radicular Pain”. In: Slipman C.W., Derby R. (eds) Interventional Spine. Elsevier. (내용 기반으로 의학적 사실 재구성)
  4. Amin, R. M., Andrade, N. S., & Neuman, B. J. (2017). “Lumbar Disc Herniation”. Current reviews in musculoskeletal medicine, 10(4), 507–516. Available from: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685963/
  5. 박정율. “요부 척추관 협착증의 병태생리”. Neurospine, 2005;2(4):306-311. Available from: https://www.e-neurospine.org/upload/pdf/01-%EB%B0%95%EC%A0%95%EC%9C%A8-%EC%99%84.pdf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