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크는 왜 파열될까? 우리 척추를 무너뜨리는 3가지 핵심 원인
이전 글에서 추간판 파열이 척추에 생긴 ‘상처’와 같으며, 이로 인한 ‘디스크 신경자극’이 극심한 통증의 본질임을 알아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이토록 중요한 척추의 완충 장치, 디스크는 어쩌다 약해지고 결국 파열에 이르게 되는 걸까요? 디스크 파열은 어느 날 갑자기 발생하는 사건이라기보다는, 오랜 시간에 걸쳐 누적된 손상의 결과물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 근본적인 원인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예방과 관리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전문가들은 그 원인을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원인 1: 피할 수 없는 시간의 흔적, 퇴행성 변화
추간판 파열의 가장 근본적인 배경에는 ‘퇴행성 변화’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놀랍게도 디스크의 노화는 10대 후반 또는 20대 초반부터 시작됩니다.1 마치 시간이 흐르면 피부의 탄력이 떨어지고 주름이 생기는 것처럼, 디스크 역시 세월의 흐름에 따라 그 성질이 변해갑니다. 가장 큰 변화는 디스크 중심부에 위치한 수핵의 수분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입니다.2
젊고 건강한 수핵은 80% 이상이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말랑하고 탄력적인 젤리와 같습니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수분은 점차 빠져나가고, 푸석푸석하고 섬유질화된 조직으로 변해갑니다. 이는 탱탱하던 포도알이 시간이 지나 쪼글쪼글한 건포도로 변하는 과정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수분을 잃고 탄력을 상실한 디스크는 충격 흡수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고, 작은 압력에도 쉽게 손상될 수 있는 취약한 상태가 됩니다. 결국, 약해진 섬유륜에 균열이 가기 시작하고, 이는 수핵 탈출과 ‘디스크 신경자극’으로 이어지는 길을 열어주는 셈입니다.
원인 2: 일상이 쌓여 만든 병, 반복적인 미세 손상
현대인에게 있어 퇴행성 변화만큼이나, 혹은 그보다 더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바로 ‘반복적인 미세 손상’입니다. 이는 잘못된 생활 습관과 자세가 오랜 기간 축적되어 디스크에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3
- 장시간 구부정하게 앉아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보는 자세
- 다리를 꼬고 앉는 습관
- 허리를 숙여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동작
- 한쪽으로만 가방을 메거나 지갑을 뒷주머니에 넣는 습관
이러한 자세들은 척추의 정상적인 만곡(S자 커브)을 무너뜨리고, 특정 부위의 디스크에 압력을 집중시킵니다. 특히 허리를 앞으로 숙이는 자세는 디스크 후방에 엄청난 압박을 가하여 섬유륜을 약화시키는 주범입니다. 마치 신용카드를 한 방향으로 계속 접었다 폈다를 반복하면 결국 부러지는 것처럼, 매일 무심코 반복하는 작은 습관들이 디스크 섬유륜에 미세한 균열을 만들고, 결국 수핵이 터져 나와 ‘디스크 신경자극’을 유발하는 결정적인 원인이 됩니다.
원인 3: 한순간의 강력한 충격, 급성 외상
이미 퇴행성 변화나 미세 손상으로 약해져 있던 디스크에 갑작스러운 충격이 가해지면, 디스크는 마지막 한계점을 넘어서며 파열될 수 있습니다. 이를 ‘급성 외상’에 의한 파열이라고 합니다.4
교통사고, 낙상, 스포츠 활동 중의 격렬한 충돌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하지만 반드시 이렇게 큰 사고가 아니더라도 디스크 파열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허리를 비튼 상태에서 무거운 물건을 번쩍 들어 올리는 순간이나, 심지어 아주 심한 재채기나 기침을 하는 순간에도 복압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디스크가 터질 수 있습니다.5 이러한 경우, 외상은 이미 약해져 있던 디스크에 가해진 ‘마지막 일격’과도 같습니다. 사소해 보이는 충격이 극심한 통증과 ‘디스크 신경자극’ 증상을 촉발하는 방아쇠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구분 | 퇴행성 변화 | 반복적 미세 손상 | 급성 외상 |
---|---|---|---|
주요 특징 | 수분 감소 및 탄력 저하 (노화) | 잘못된 자세/습관의 누적 | 단일 사건으로 인한 강한 충격 |
진행 속도 | 수십 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 | 수년 ~ 수십 년에 걸쳐 누적 | 순간적으로 발생 |
대표적인 예 | 나이가 들며 디스크가 검게 변함 | 장시간의 좌식 생활, 구부정한 자세 | 교통사고, 낙상, 무거운 물건 들기 |
주요 영향 | 디스크 자체의 내구도 약화 | 섬유륜의 특정 부위 약화 및 균열 | 섬유륜의 급작스러운 파열 |
결론적으로, 이 세 가지 원인은 독립적으로 작용하기보다는 서로 복합적으로 얽혀 디스크 파열을 유발합니다. 퇴행성 변화로 약해진 디스크가 반복적인 미세 손상에 시달리다가, 사소한 외상을 계기로 결국 터져 나오는 것이 가장 흔한 시나리오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이렇게 파열된 디스크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신경을 공격하여 ‘디스크 신경자극’을 일으키는지, 그 두 가지 핵심 기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추간판 탈출증”. N 의학정보. Available from: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195
-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신명훈 교수. “퇴행성 척추변형, 나이 들면 누구나 예외 없다?”. 메디포뉴스. 2024. Available from: https://www.medifonews.com/news/article.html?no=186801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추간판탈출증(디스크)”. 건강정보. Available from: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3348
- KIMS 학술센터. “추간판 탈출증 (Disk herniation)”. 질환포커스. Available from: https://www.kimsonline.co.kr/ResCenter/diseasefocus/view/724
- 병원간호사회. “척추질환 –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 건강정보. Available from: https://www.khna.or.kr/homecare/05_muscu/spinal02.php (내용 기반 재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