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공격: 화학적 염증의 습격
이전 장에서 우리는 찢어진 디스크의 껍질, 즉 ‘섬유륜 파열’이 그 자체로 극심한 급성 요통의 통증의 진원지가 될 수 있음을 배웠습니다. 하지만 이야기는 여기서 끝나지 않습니다. 섬유륜에 생긴 균열은 단순히 구조적인 손상을 넘어, 디스크 내부에 봉인되어 있던 물질이 밖으로 새어 나오게 하는 ‘판도라의 상자’를 여는 것과 같습니다. 그리고 이 상자에서 나온 물질이 바로 ‘보이지 않는 공격’의 주체, 즉 ‘화학적 염증(Chemical Inflammation)’을 일으킵니다.
수핵: 면역계에게는 ‘외부 침입자’
디스크 중심부의 수핵(Nucleus Pulposus)은 태어날 때부터 혈관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면역 특권(Immune-privileged)’ 지역에 존재합니다. 이 때문에 우리 몸의 면역체계는 수핵을 ‘우리 편’으로 인식하도록 학습할 기회가 없었습니다.[1]
그런데 섬유륜 파열로 인해 수핵이 찢어진 틈을 통해 척추관 내로 누출되면, 우리 몸의 면역세포(대식세포 등)는 생전 처음 보는 이 젤리 같은 물질을 외부에서 침입한 ‘이물질’ 또는 ‘적’으로 오인하게 됩니다. 그리고 즉시 이 침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강력한 화학무기들을 동원한 총공격을 시작합니다.
화학적 염증: 통증을 일으키는 보이지 않는 불길
이 면역 반응의 핵심은 ‘염증성 사이토카인(Inflammatory Cytokines)’이라는 강력한 화학물질의 분비입니다. 대표적으로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 인터루킨-1(IL-1)과 같은 물질들이 있습니다.[2] 이 화학물질들은 마치 불길처럼 주변으로 퍼져나가며 다음과 같은 문제를 일으킵니다.
- 신경근 자극: 이 염증 물질들은 굳이 디스크가 신경을 물리적으로 누르지 않더라도, 신경 뿌리 주변에 달라붙어 신경을 화학적으로 매우 강력하게 자극합니다. 이로 인해 극심한 허리 통증과 다리로 뻗치는 연관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통증 민감화: 신경 자체를 과민하게 만들어, 평소에는 아프지 않을 작은 자극에도 통증을 느끼게 만듭니다(중추 감작).
결국, MRI에서는 신경이 전혀 눌려있지 않은데도 환자는 극심한 통증을 느끼는, 소위 ‘설명되지 않는 통증’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진짜 통증의 진원지는 MRI 사진에 보이는 디스크의 형태가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이 ‘화학적 염증’ 그 자체입니다.
구분 | 물리적 압박 (기계적 통증) | 화학적 염증 (염증성 통증) |
---|---|---|
원인 | 디스크가 신경을 직접 누름 | 누출된 수핵이 면역 반응을 일으킴 |
통증 기전 | 신경의 혈액순환 장애, 기계적 자극 | 염증 물질에 의한 신경의 화학적 자극 |
주요 치료 | 물리적인 압박을 줄이는 것 (감압술, 자세 교정) | 염증을 가라앉히는 것 (소염제, 스테로이드 주사) |
이처럼 디스크성 요통의 상당 부분은 단순히 구조물이 신경을 누르는 ‘기계적 문제’를 넘어,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일으키는 ‘생화학적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이것이 바로 디스크성 통증의 치료가 어려운 이유이자, 소염제나 특정 주사 치료가 효과를 보이는 이유입니다. 당신의 허리 통증이 쉬어도 낫지 않고 지속된다면, 그 통증의 진원지에서는 이처럼 보이지 않는 화학적 전쟁이 벌어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급성기의 폭풍 같은 통증이 지나간 후, 이제는 은근하고 지긋지긋한 만성 통증의 단계로 넘어갑니다. 다음 장에서는 디스크가 주저앉으면서 발생하는 ‘미세 불안정성’이 어떻게 만성 디스크성 요통의 원인이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 Geiss, A., et al. (2007). Immune privilege and the spinal cord. Journal of Neuroimmunology, 186(1-2), 1-10.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16557280700086X
- Mulleman, D., et al. (2006). Pathophysiology of disk-related sciatica. I.–Evidence supporting a chemical component. Joint Bone Spine, 73(2), 151-158. https://pubmed.ncbi.nlm.nih.gov/1649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