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의 증거 ⑥ 심부건 반사 검사: 신경 고속도로의 정체 신호
진찰 과정에서 의사가 작은 고무망치를 꺼내 무릎이나 발목을 톡톡 두드리는 장면은 아마 많은 분들께 익숙할 것입니다. 어떤 환자들은 “왜 뜬금없이 무릎을 치는 거지?”라며 의아해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심부건 반사(Deep Tendon Reflex, DTR) 검사’는 신경계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매우 중요하고 객관적인 과정입니다. 이는 마치 고속도로의 특정 구간에 차를 보내보고, 얼마나 빨리 목적지에 도착하는지를 통해 도로의 정체 여부를 확인하는 것과 같습니다. 반사 반응의 속도와 강도는 당신의 신경 고속도로가 막힘없이 뚫려있는지, 아니면 어딘가에서 심각한 정체가 발생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명백한 ‘몸의 증거’입니다.
반사 검사의 원리: 우리 몸의 가장 빠른 신호 체계
심부건 반사는 우리가 의식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척수 레벨에서 일어나는 매우 빠른 반사 작용입니다.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의사가 고무망치로 힘줄(Tendon)을 가볍게 두드리면, 연결된 근육이 순간적으로 늘어납니다.
- 근육 안에 있는 센서(근방추)가 이 늘어남을 감지하고, “근육이 갑자기 늘어났으니 원래대로 돌아가야 해!”라는 신호를 감각신경을 통해 척수로 보냅니다.
- 척수는 이 신호를 받자마자, “근육을 수축시켜라!”는 명령을 운동신경을 통해 다시 해당 근육으로 보냅니다.
- 명령을 받은 근육이 순간적으로 수축하면서, 다리가 툭 튀어 오르는 반사 반응이 나타납니다.
이 모든 과정은 뇌가 인지하기도 전에, 0.1초도 안 되는 눈 깜짝할 사이에 일어납니다. 만약 이 신호 전달 경로(반사궁, Reflex arc) 어딘가에 문제가 있다면, 반사 반응은 비정상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의사가 찾고자 하는 결정적인 몸의 증거입니다.[1]
무릎과 발목: 신경 고속도로의 주요 IC
허리 통증과 관련하여 의사들은 주로 두 가지 핵심적인 심부건 반사를 검사합니다.
반사 검사 | 두드리는 위치 | 확인하려는 신경 고속도로 | 반사가 약하거나 없다면? (몸의 증거) |
---|---|---|---|
무릎 반사 (슬개건 반사) | 무릎 슬개골 바로 아래 움푹 들어간 힘줄 | 제 4번 요추 신경근 (L4) | L4 신경근이 디스크나 협착증에 의해 눌렸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발목 반사 (아킬레스건 반사) | 발뒤꿈치의 아킬레스 힘줄 | 제 1번 천추 신경근 (S1) | S1 신경근이 눌렸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반사의 이상이 말해주는 것: 저하 vs. 항진
반사 검사의 결과는 단순히 ‘있다/없다’가 아닙니다. 그 반응의 강도 역시 중요한 몸의 증거입니다.
- 반사 저하 또는 소실 (Hyporeflexia / Areflexia): 반사 반응이 정상보다 약하거나 아예 나타나지 않는 경우입니다. 이는 신호가 전달되는 경로 자체에 문제가 생겼음을 의미합니다. 즉, 허리 디스크나 협착증 등으로 인해 척수에서 빠져나온 말초신경(신경근)이 눌려 신호 전달이 차단되었을 때 나타나는 전형적인 소견입니다.
- 반사 항진 (Hyperreflexia): 오히려 정상보다 훨씬 과장되고 격렬한 반사 반응을 보이는 경우입니다. 이는 척수나 뇌와 같은 중추신경계의 문제를 시사하는 심각한 몸의 증거일 수 있습니다. 마치 고속도로의 상위 통제 시스템이 고장 나, 작은 자극에도 과민하게 반응하는 것과 같습니다. 뇌졸중이나 척수 손상 등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2]
이처럼 작은 고무망치 하나로 의사는 신경계의 건강 상태에 대한 매우 중요한 정보들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근력, 감각, 반사 신경을 통해 신경의 상태를 확인했다면, 이제는 신경이 물리적으로 얼마나 당겨지고 압박받는지를 직접 확인해 볼 차례입니다.
다음 장에서는 허리 디스크 진단의 ‘시그니처 검사’라고 불리는, ‘하지 직거상 검사(SLR)’의 원리에 대해 깊이 있게 파헤쳐 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 Walker, H. K. (1990). Deep Tendon Reflexes. In H. K. Walker, W. D. Hall, & J. W. Hurst (Eds.), Clinical Methods: The History, Physical, and Laboratory Examinations (3rd ed.). Butterworths.
- Zimmerman, B., & Hubbard, J. (2021). Deep Tendon Reflexes. In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