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의 증거 ④ 근력 검사(MMT): 신경이 지배하는 근육의 힘
지금까지 우리는 척추의 겉모습과 움직임을 통해 몸의 증거를 찾아왔습니다. 이제부터는 한 단계 더 깊이 들어가, 척추를 빠져나와 다리로 뻗어가는 ‘신경’의 건강 상태를 직접 확인하는 ‘신경학적 검사’의 세계로 들어갑니다. 그 첫 번째 관문이 바로 ‘도수 근력 검사(Manual Muscle Testing, MMT)’입니다.
우리 몸의 모든 근육은 특정 척수 신경의 지배를 받습니다. 마치 전선(신경)이 전구(근육)에 연결되어 불을 켜는 것과 같습니다. 만약 특정 전구의 불빛이 약하거나 깜빡인다면, 우리는 전구 자체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그 전구로 가는 전선 어딘가에 문제가 생겼다고 의심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특정 근육의 힘이 약해지는 것은 그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이 어딘가에서 눌리거나 손상되었다는 매우 객관적이고 강력한 ‘몸의 증거’가 됩니다.[1]
근력의 등급: 0점에서 5점까지의 증거
의사는 환자에게 특정 동작을 하게 한 후, 손으로 저항을 주며 근육이 얼마나 힘을 잘 내는지를 평가합니다. 이 근력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6단계(0~5등급)로 등급이 매겨지며, 숫자가 낮을수록 신경 손상이 심각함을 의미합니다.
- Grade 5 (정상): 최대의 저항에 대항하여 정상적인 힘을 발휘함.
- Grade 4 (좋음): 어느 정도의 저항에 대항하지만, 정상보다는 힘이 약함.
- Grade 3 (보통): 중력에 대항하여 움직일 수는 있지만, 저항을 가하면 움직이지 못함.
- Grade 2 (나쁨): 중력을 없애준 상태(예: 바닥에 다리를 대고 끄는 동작)에서는 움직일 수 있음.
- Grade 1 (매우 나쁨): 근육이 수축하는 것은 보이나, 실제 관절의 움직임은 없음.
- Grade 0 (없음): 근육의 수축 자체가 전혀 없음 (완전 마비).
핵심 근육 검사: 범인 신경을 찾아내다
허리 통증과 관련하여 의사들은 주로 세 가지 핵심 신경근(L4, L5, S1)이 지배하는 근육의 힘을 집중적으로 검사합니다.
의심 신경 | 대표 근육 | 검사 방법 (환자의 동작) | 이 근력이 약하다는 것의 의미 (몸의 증거) |
---|---|---|---|
제 4번 요추 신경근 (L4) | 대퇴사두근 (허벅지 앞쪽) | 앉은 상태에서 무릎을 쭉 펴도록 한다. (의사는 무릎을 구부리려고 저항을 준다) | 무릎을 펴는 힘이 약하다. 계단을 오르내리기 힘들거나, 무릎에 힘이 풀려 주저앉을 수 있다. 무릎 반사가 감소하는 몸의 증거가 동반될 수 있다. |
제 5번 요추 신경근 (L5) | 전경골근, 장무지신근 (정강이 앞, 발목) |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 발목과 엄지발가락을 위로 들어 올리도록 한다. (의사는 아래로 누르며 저항한다) | 발목을 위로 당기는 힘이 약해져 걸을 때 발끝이 끌리는 ‘족하수(Foot drop)’가 나타날 수 있다. 허리 디스크 환자에게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몸의 증거이다. |
제 1번 천추 신경근 (S1) | 비복근, 가자미근 (장딴지) | 선 자세에서 발끝으로 까치발을 서도록 한다. (한 발로 서서 검사하면 더 정확하다) | 까치발 서기가 어렵고, 걷거나 뛸 때 땅을 차고 나가는 힘이 약해진다. 발목 반사가 소실되는 몸의 증거가 함께 나타날 수 있다. |
물론 근력 약화는 신경 압박 외에 다른 원인으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특정 신경근이 지배하는 영역과 일치하는 근력 약화가 발견된다면, 이는 MRI와 같은 영상 검사에서 어느 부위를 더 집중적으로 봐야 할지 알려주는 매우 귀중한 몸의 증거가 됩니다.[2]
근육의 힘을 통해 신경의 ‘운동 기능’을 확인했다면, 다음 단계는 신경의 ‘감각 기능’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다음 장에서는 피부 감각 검사를 통해 어떻게 신경의 손상 범위를 지도처럼 그려나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 Kendall, F. P., et al. (2005).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5th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 Stuber, K., et al. (2014). The diagnostic accuracy of manual muscle testing for identifying specific lumbar radiculopathies: a systematic review. The Spine Journal, 14(10), 2415-2430. https://www.thespinejournalonline.com/article/S1529-9430(14)00257-2/full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