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의 증거 ③ 운동 범위 검사: 굳어버린 척추의 외침
의사가 눈으로 보고(시진) 손으로 만져보며(촉진) 구조적인 이상에 대한 몸의 증거를 수집했다면, 이제는 척추를 직접 움직여보며 기능적인 문제를 파악할 차례입니다. ‘운동 범위 검사(Range of Motion test)’는 당신의 척추가 얼마나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는지, 특정 움직임에서 통증이 유발되는지를 평가하여 질병의 성격을 감별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척추가 움직임을 거부하며 지르는 외침은, 그 어떤 MRI 소견보다 더 생생한 몸의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의사는 환자에게 허리를 앞으로 숙이고, 뒤로 젖히고, 옆으로 구부리고, 회전하는 네 가지 기본 동작을 시켜보며 척추의 기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앞으로 숙이기 (굴곡, Flexion): 디스크의 압박과 햄스트링의 저항
허리를 앞으로 숙이는 동작은 척추 진찰에서 가장 많은 정보를 주는 움직임 중 하나입니다.
- 굴곡 시 통증 증가: 이전에도 설명했듯이, 허리를 숙일 때 통증이 심해진다면 이는 디스크가 뒤쪽 신경을 압박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대표적인 몸의 증거입니다.
- 움직임의 질 평가: 단순히 얼마나 숙이는지 뿐만 아니라, 어떻게 숙이는지도 중요합니다. 정상적인 굴곡은 허리뼈(요추)가 부드럽게 둥근 곡선을 그리며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허리가 뻣뻣한 환자는 허리는 편 채로 고관절만 구부려서 숙이는 양상을 보입니다.
- 쇼버 검사(Schober’s Test): 특히 강직성 척추염이 의심될 때 시행하는 검사입니다. 허리에 두 지점을 표시하고, 허리를 숙였을 때 두 지점 사이의 거리가 얼마나 늘어나는지를 측정합니다. 정상적으로는 5cm 이상 늘어나야 하지만, 척추가 굳은 환자는 이 거리가 거의 늘어나지 않습니다. 이는 척추의 강직을 객관적인 수치로 보여주는 명백한 몸의 증거가 됩니다.[1]
뒤로 젖히기 (신전, Extension): 후관절의 비명
허리를 뒤로 젖히는 동작은 척추의 뒤쪽에 위치한 ‘후관절(Facet joint)’에 압력을 가하게 됩니다. 만약 이 동작에서 허리 중앙이나 한쪽에 찌르는 듯한 통증이 발생한다면, 이는 디스크보다는 후관절의 퇴행성 변화나 염증을 시사하는 몸의 증거일 수 있습니다. 특히 척추관 협착증 환자들은 이 동작에서 신경관이 더 좁아져 다리 저림이 심해지기도 합니다.
옆으로 구부리기 (측굴, Lateral flexion) & 회전 (Rotation)
허리를 좌우로 구부리거나 비트는 동작은 척추의 전반적인 유연성을 평가합니다. 만약 한쪽으로만 움직임이 제한된다면, 반대편 근육의 심한 경직이나 측만증과 같은 구조적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강직성 척추염 환자의 경우, 병이 진행되면 모든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특징을 보입니다. 마치 몸통 전체가 하나의 통나무처럼 움직이는 듯한 양상을 보이며, 이는 질병의 심각도를 가늠하는 중요한 몸의 증거가 됩니다.[2]
검사 동작 | 통증 및 제한 소견 (몸의 증거) | 주요 의심 질환 |
---|---|---|
앞으로 숙이기 (굴곡) | 동작 시 통증 악화 허리가 뻣뻣하여 구부러지지 않음 (쇼버 검사 양성) | 추간판 탈출증 강직성 척추염, 심한 근육 경직 |
뒤로 젖히기 (신전) | 동작 시 국소적인 허리 통증 발생 동작 시 다리 저림 악화 | 후관절 증후군 척추관 협착증 |
모든 방향으로의 움직임 제한 | 마치 통나무처럼 몸 전체가 뻣뻣하게 움직임 | 진행된 강직성 척추염 |
척추가 보낼 수 있는 가장 정직한 신호는 바로 ‘움직임의 제한’입니다. 당신의 몸이 특정 움직임을 거부하고 있다면, 이는 그 움직임이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는 명백한 몸의 증거입니다. 구조적인 문제와 기능적인 문제를 모두 파악했다면, 이제 의사의 관심은 ‘신경’으로 향합니다.
다음 장에서는 신경계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신경학적 검사’의 첫 번째 단계, ‘근력 검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 Magee, D. J. (2014). Orthopedic physical assessment (6th ed.). Saunders Elsevier.
- Braun, J., & Sieper, J. (2007). Ankylosing spondylitis. The Lancet, 369(9570), 1379-1390. https://www.thelancet.com/journals/lancet/article/PIIS0140-6736(07)60635-7/full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