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통 Macnab> 08. 통증의 단서: 당신의 이야기가 MRI보다 정확할 수 있다

실전: 내 통증, 명의에게 설명하는 법

지금까지 우리는 허리 통증의 원인을 추적하기 위한 다양한 통증의 단서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통증의 시작(Onset), 자세에 따른 변화(Provocation/Palliation), 통증의 느낌과 경로(Quality/Radiation) 등, 당신의 몸이 보내는 수많은 신호의 의미를 배웠습니다. 하지만 이 모든 지식은, 당신이 진료실에서 의사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때 비로소 그 가치를 발휘합니다.

안타깝게도 많은 환자들이 짧은 진료 시간과 긴장감 속에서, 자신이 겪는 통증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합니다. 결국 의사는 제한된 정보 속에서 진단을 내려야 하고, 이는 오진이나 불필요한 검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우리가 배운 모든 통증의 단서를 실전에서 활용하여, 당신을 ‘의사소통의 달인’으로 만들어 줄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합니다.[1]

진료실에 들어가기 전, ‘통증 메모’를 준비하라

성공적인 진료의 핵심은 ‘준비’에 있습니다. 의사에게 당신의 통증을 가장 정확하게 전달하는 최고의 방법은, 진료 전 OPQRST 프레임워크에 맞추어 당신의 통증을 미리 메모해 가는 것입니다. 이는 단순한 메모가 아니라, 흩어져 있는 당신의 경험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한 ‘통증 보고서’이자, 가장 중요한 통증의 단서 모음집입니다.

이렇게 한번 설명해 보세요 (통증 설명 시뮬레이션)

많은 환자들은 이렇게 말합니다. “의사 선생님, 허리가 너무 아파요. 그냥 다 아파요. 어떻게 좀 해주세요.” 이는 의사에게 아무런 통증의 단서도 주지 못하는, 감정적인 호소에 가깝습니다.

하지만 ‘통증 메모’를 준비한 현명한 환자는 이렇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선생님, 제 통증에 대해 정리해 왔습니다.”

“통증은 (O) 석 달 전쯤 무거운 것을 들다가 갑자기 시작되었습니다. (P) 허리를 앞으로 숙이면 심해지고, 바로 누워 있으면 좀 편안합니다. (Q) 통증은 묵직하게 쑤시는 느낌이고, (R) 오른쪽 엉덩이부터 허벅지 뒤쪽을 따라 발끝까지 전기가 오듯 저립니다. (S) 가장 아플 때를 10점이라고 하면, 지금은 6점 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T) 특히 아침에 일어나거나 오래 앉아있다가 일어설 때 통증이 심합니다.

어떤 설명이 의사에게 더 많은 통증의 단서를 제공할지는 명백합니다. 두 번째 설명은 그 자체로 이미 ‘제 5번 요추 또는 제 1번 천추 신경근을 자극하는 추간판 탈출증’이라는 잠정 진단을 가능하게 합니다.

항목 (OPQRST)핵심 질문메모 예시
Onset (시작)언제, 어떻게 시작되었나?“3주 전, 특별한 계기 없이 서서히 시작됨”
Provocation / Palliation (악화/완화)무엇을 하면 더 아프고, 덜 아픈가?“걸으면 다리가 터질 듯 아프고, 쪼그려 앉으면 괜찮아짐”
Quality (질감)통증이 어떤 느낌인가?“다리가 무겁고, 모래주머니를 찬 듯 답답함”
Radiation (방사)어디로 뻗치나?“양쪽 종아리 바깥쪽으로 뻗침”
Severity (정도)0점에서 10점 사이, 몇 점인가?“평상시 4점, 10분 이상 걸으면 8점까지 올라감”
Timing (시간)하루 중 언제가 가장 힘든가?“주로 오후에 심해짐, 아침에는 오히려 괜찮음”

이처럼 자신의 통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습관은, 당신을 수동적인 치료 대상에서 능동적인 치료의 주체로 바꾸어 놓습니다. 이는 의사와의 신뢰 관계를 형성하고, 궁극적으로는 당신의 치료 결과를 바꾸는 가장 강력한 무기가 될 것입니다. 당신의 몸이 보내는 통증의 단서를 놓치지 말고, 잘 정리하여 최고의 진단을 이끌어 내십시오.


참고 자료

  1. Street, R. L. Jr., et al. (2009). How does communication heal? Pathways linking clinician–patient communication to health outcome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74(3), 295-301.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73839910800588X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