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통 Macnab> 06. 척추 불안정성의 모든 것: 10대 피로 골절(분리증)부터 노년의 미끄러짐(전방전위증)까지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 임상 증상과 진단법

척추의 연결고리가 약해지고 뼈가 어긋나기 시작하면, 우리 몸은 다양한 신호를 보내기 시작합니다. 흥미로운 점은, 상당수의 척추분리증 환자들은 평생 아무런 증상 없이 지내기도 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척추 불안정성이 심해지거나 신경이 압박받기 시작하면, 비로소 특징적인 증상들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내 몸이 보내는 신호를 정확히 알아차리는 것이 조기 진단과 치료의 첫걸음입니다.

허리부터 다리까지: 척추 불안정성이 만드는 대표 증상

척추분리증 및 전방전위증의 증상은 크게 ‘허리 통증’과 ‘신경 압박 증상’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허리 통증(기계적 통증): 이는 척추 불안정성 자체로 인해 발생하는 통증입니다. 척추 마디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허리를 뒤로 젖히거나(신전) 오래 서 있을 때 통증이 심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대로 허리를 앞으로 숙이거나 앉으면 통증이 완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오래 서서 설거지하기 힘들다”, “걸을 때 허리를 자꾸 펴고 싶다”고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1]
  • 신경근 압박 증상(방사통): 미끄러져 나온 척추뼈나 주변의 두꺼워진 조직이 다리로 가는 신경(신경근)을 누르면서 발생합니다. 엉덩이 깊숙한 곳에서 시작하여 허벅지 뒤쪽이나 옆쪽을 따라 종아리까지 뻗치는 양상의 통증이나 저림이 나타납니다.
  • 신경성 파행(Neurogenic Claudication): 척추전방전위증과 척추관 협착증에서 나타나는 매우 특징적인 증상입니다. 조금만 걸으면 다리가 터질 듯이 아프고 저려서 주저앉게 되고, 잠시 쪼그리고 앉아 쉬면 증상이 사라져 다시 걸을 수 있게 되는 증상이 반복됩니다. 이는 걸을 때 척추관이 더 좁아져 신경 압박이 심해지기 때문에 발생합니다.[2]

진단: 눈으로 직접 확인하는 척추 불안정성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의 증상을 듣는 것과 함께, 영상 검사를 통해 뼈의 구조적인 문제를 직접 확인하는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각 영상 검사는 서로 다른 정보를 제공하므로, 종합적인 평가를 위해 여러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영상 검사주요 확인 사항세부 내용 및 특징
X-ray (단순 방사선 촬영)뼈의 구조, 정렬, 미끄러진 정도 확인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검사입니다. 특히 허리를 비스듬히 45도 각도로 촬영하는 사위 촬영(oblique view)에서 척추분리증이 있는 경우, 척추뼈의 뒷모습이 마치 목걸이를 한 스코틀랜드테리어(Scotty dog with a collar)처럼 보이는 특징적인 소견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3]
CT (컴퓨터 단층촬영)뼈의 상세한 구조, 협부의 골절 상태 확인X-ray에서 잘 보이지 않는 미세한 협부의 골절이나, 골절이 얼마나 오래되었는지(만성/급성) 등을 가장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뼈의 3차원적인 구조를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MRI (자기공명영상)연부조직(디스크, 인대), 신경 압박 정도 확인뼈뿐만 아니라 디스크의 상태, 인대의 두께,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는 척수와 신경근이 얼마나, 어디에서 눌리고 있는지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검사입니다. 수술 여부를 결정하는 데 핵심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처럼 환자가 느끼는 증상과 영상 검사 소견을 종합하여, 척추 불안정성의 정확한 원인과 심각한 정도, 그리고 신경 압박 유무를 파악하게 됩니다. 이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비로소 환자 개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다음 장에서는 대부분의 환자에게 우선적으로 적용되는 비수술적 치료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1. Kalpakcioglu, B., et al.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lumbar spondylolisthesis and the intensity of the symptoms. Journal of Back and Musculoskeletal Rehabilitation, 22(3), 133-139. https://content.iospress.com/articles/journal-of-back-and-musculoskeletal-rehabilitation/bmr00234
  2. Genevay, S., & Atlas, S. J. (2010). Lumbar spinal stenosis.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Rheumatology, 24(2), 253-265.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52169420900135X
  3. Amato, M., et al. (2003). Spondylolysis: a review. Neurosurgical Focus, 14(1), e2. https://thejns.org/focus/view/journals/neurosurg-focus/14/1/14.1.focus_d032.xml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