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통 Macnab> 01. 요추 생역학: 허리 통증의 모든 원리, 이 글 하나로 완벽 이해

내 허리 설명서, 제대로 알고 관리하자

이번 포스팅을 통해 우리는 허리 통증의 근원을 이해하기 위해 우리 몸의 중심 기둥, 요추의 복잡하고 정교한 세계를 탐험했습니다. 상체의 무게를 묵묵히 지탱하는 5개의 튼튼한 요추뼈, 그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놀라운 완충장치인 추간판(디스크), 뇌와 다리를 잇는 중요한 통신망인 신경 구조, 그리고 이 모든 것을 안정적으로 붙잡아주는 인대와 근육까지. 이들은 각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부품이 아니라, 완벽한 조화 속에서 움직이는 하나의 정교한 유기체입니다.

하지만 이 구조를 아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이 구조물들이 힘과 움직임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즉 ‘요추 생역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내 몸에 적용하는 것입니다. 왜 오래 앉아있는 것이 서 있는 것보다 허리에 부담을 주는지, 왜 무심코 허리를 비틀며 물건을 드는 동작이 치명적인지를 아는 것은 통증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가장 근본적인 첫걸음입니다.[1] 요추 생역학은 더 이상 의사나 치료사만의 전문 영역이 아닙니다. 이는 내 몸을 스스로 지키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내 허리 사용 설명서’의 핵심 챕터와도 같습니다. 이 지식은 우리를 수동적인 통증의 희생자에서 능동적인 건강 관리자로 바꾸는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결국 모든 허리 통증 관리의 성패는 요추 생역학에 대한 이해와 일상 속 실천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핵심 구조핵심 기능반드시 기억해야 할 요추 생역학 원리
기능적 척추 분절 (FSU)
(뼈-디스크-뼈 세트)
하중 지지 및 움직임의 최소 단위자세에 따라 디스크 압력이 극적으로 변합니다. 특히 앉아서 숙이는 자세는 피해야 합니다.[1]
후관절 (Facet Joint)움직임의 방향과 범위 제어허리는 숙이고 펴는 동작에는 강하지만, ‘회전’에는 구조적으로 매우 취약합니다.
심부 근육 (코어 근육)척추의 동적 안정성 제공코어 근육 약화는 요추 생역학적 불안정성을 초래하여 통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됩니다.[2]

이제 허리의 기본 구조와 작동 원리를 이해했으니, 다음 단계로 나아갈 시간입니다. 지금 당신이 겪고 있는 허리 통증은 과연 어떤 종류에 속할까요? 현재 나이에서 특별히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질환은 무엇일까요?

다음 시리즈에서는 <요통의 분류 및 연령별 주요 질환>을 주제로, 당신의 통증에 대한 구체적인 실마리를 찾아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1. Nachemson, A. L. (1981). Disc pressure measurements. Spine, 6(1), 93–97. https://pubmed.ncbi.nlm.nih.gov/6452682/
  2. Panjabi, M. M. (1992). The stabilizing system of the spine. Part I. Function, dysfunction, adaptation, and enhancement. Journal of spinal disorders, 5(4), 383–389. https://pubmed.ncbi.nlm.nih.gov/1490034/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